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실험 고고학을 통해 본 백제 흑색마연토기 제작기술 연구 (Research on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Black-Burnished Pottery in Baekje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mental Archaeolog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4.09
30P 미리보기
실험 고고학을 통해 본 백제 흑색마연토기 제작기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제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제학보 / 12호 / 5 ~ 34페이지
    · 저자명 : 남상원, 김수경

    초록

    백제 흑색마연토기는 당시 일반인들이 향유할 수 없는 고급 용기였음이 고고학적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모방품과 출토 정황으로 볼 때 당시로서는 하이테크가 투영된 물품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하이테크의 등장과 이동은 백제의 중앙집권화 시점, 백제의 마한 영역화 여부, 주요 유구의 성격 파악 등에 활용되면서 백제사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흑색마연토기는 명확한 제작기술이 밝혀지지 않은 만큼 그 기준이 모호하여 해석에 오류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엇이 백제 중앙의 흑색마연토기인지 이를 명확히 하는 것이 목적이다. 당시 백제 중앙 제도기술의 결집체라고 볼 수 있는 흑색마연토기의 제작기술을 밝히는 연구는 백제 토기문화를 복원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자연과학적 분석으로는 흑색마연토기에 대한 XRF분석을 통해 다른 토기들보다 인(P)수치와 L.O.I. 값이 높다는 것을 알았고, 이는 유기물의 탄화와 관련된 공정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 후 시편을 제작하여 마연실험을 통해 적절한 건조와 마연도구의 선택이 광택과 깊은 연관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SEM-EDS분석을 통해서는 흑색 성분이 탄소(C)와 깊은 연관이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고, 연료를 달리하여 탄소흡착 예비실험을 진행하였다.
    태토의 선정도 재료과학적으로 백제토기와 광물 비율이 유사한 점토를 사용하였으며, 토기제작도 전문 도예가를 통하여 전통 도구만을 사용하여 재현을 의뢰하였다. 소성 또한 광주 비아유적을 모델로 한 전통가마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이번 재현실험을 통해 밝혀진 흑색마연토기 제작공정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⓵ 정선된 태토를 사용, ⓶ 토기 반건조 후 강돌이나 매끄러운 견과류로 표면 마연, ⓷ 600℃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서서히 소성, ⓸ 소성 마지막 단계에서 탄소발생연료 투입 후 가마를 밀폐로 볼 수 있다.
    그 결과 외형적로 흑색마연토기와 비슷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재현토기 단면을 보았을 때 고고유물처럼 속심까지 검은 토기는 재현하지 못했다. 이는 탄소침투가 활발히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되며 소성방식이나 연료의 선택 등의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과거 물질문화를 복원하는데 있어 실험고고학이 실증적 자료로 제시되려면 많은 변수를 고려한 많은 데이터가 축적되어야 한다고 본다. 앞으로 고고학 다방면의 분야에서 실험고고학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원한다.

    영어초록

    Archeological inquiries have shown that the black-burnished pottery from the Baekje period were luxury vessels that remained out of commoner’s reach. Judging from the existence of its imitations and how the old artifacts are retrieved through excavation, it must have been a high-tech piece by the standards of the day. Thus, the appearance and mobility of such high technology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history of Baekje, as it has been employed in figuring out when the dynasty had a centralized government, whether Baekje incorporated Mahan into its domain,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remaining structures.
    Because the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black-burnished pottery has yet to be clarified, its ambiguous standards often cause errors in interpretation. Therefore, the current study is designed to make clear what constitutes the black-burnished pottery produced by the central regime of the Baekje Dynasty. A study that intends to bring light on the technology for making black-burnished pottery, a product of the institutionalized technology of the central regime of Baekje, is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recovery of the pottery culture in the Baekje period.
    First of all, through XRF analysis on the black-burnished pottery, I have seen that it registers higher phosphorus (P) value and L.O.I. value, and understand that this points to a process related to the carbonization of organic matter. Then, through an experiment in burnishing a manufactured specimen, I have found out that selection of appropriate drying and burnishing tools is closely related to gloss. Through SEM-EDS analysis, I have confirmed that the black color has much to do with carbon, and conducted a preliminary experiment in carbon absorption with different fuels.
    In selecting earth, I adopted clay that includes a composition of minerals which is similar from the perspective materials science to that found in the pottery from the Baekje period. And for the making of the pottery, I asked a professional pottery artist to take care of its reproduction. For firing, I used a traditional furnace modelled on the relic in Bia, Gwangju.
    The reproduction experiment has come up with the specifics of the manufacturing of the black-burnished pottery as follows: a. strictly screened earth was used; b. half-dried pottery was put to burnishing with pebblestones or sleek nuts; c. slowly fired at a low temperature of maximum 600℃; and d. at the last phase of firing and after carbon-generating fuel was put in, furnace was sealed.
    As a result, I have obtained products which are similar in appearance to the black-burnished pottery. However, I could not create pottery that shows black to the core like the ancient artifacts in a cross-sectional inspection. This suggests that there has not been active carbon penetration, which difference seems to be caused by firing method or selected fuel. In order for experimental archeology to serve as empirical data in restoring material culture from the past, large quantities of data that consider many variables must be accumulated. It is hoped that a lot of studies in experimental archeology will be actively carried out in various fields of arche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