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라리’ 구음의 보편성과 한국적 독자성 (The Universality and Korean Identity of the Sound Arar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2.08
33P 미리보기
‘아라리’ 구음의 보편성과 한국적 독자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권 / 2호 / 311 ~ 343페이지
    · 저자명 : 전경욱

    초록

    현전 민요 아리랑과 아라리에서는 아라리와 관련된 구음이 ‘아리’ ‘아라리’ ‘아라성’ ‘아리랑’ ‘아르렁’으로 나타나고, 다른 민요들에서는 ‘리루리’ ‘릴리리’ ‘라리라’ ‘라리’ ‘라따’ ‘리띠리’로 나타난다. 고려시대의 「청산별곡」에 삽입된 구음 ‘얄리’ ‘얄라리’ ‘얄라성’도 ‘아라리’ 계통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아리’ ‘아라리’ 구음의 유래는 고려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시용향악보』의 「구천」「군마대왕」「별대왕」「나례가」에서는 ‘로리’ ‘로라리’ ‘리라리’ ‘나리나’ ‘리런나’ 등의 구음이 보인다. 그리고 꼭두각시놀이의 여러 구음들 가운데, ‘아리’ ‘아라리’와 관련된 구음은 ‘나이나’ ‘리리’ ‘라라’ ‘니나노’ ‘나니네’ 등이다. 「불설명당경」에서는 ‘아라리’ ‘사라리’ ‘아리랑’, 『진언집』에서는 ‘아리’ ‘노나리’ ‘구나리’, ‘불성금강뎡유가최승비밀셩불수구 …’라는 경에서는 ‘알아리’ ‘아아리’라는 구음이 사용되었다. 그러므로 ‘아라리’와 관련된 구음들이 고려시대 이후 계속 전승되어 왔고, 우리나라 곳곳에 퍼져 있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의 민요, 전통연극, 가면극, 인형극 등에서는 한국의 아라리와 관련된 구음으로 ‘랄리(剌哩)’ ‘라리(囉哩)’ ‘라라리(囉囉哩)’ ‘나라리(那羅離)’ ‘라리련(囉哩嗹)’ ‘라리리(囉哩哩)’ ‘리라리(哩囉哩)’ ‘라리라(囉哩囉)’ ‘라리라(羅犁羅)’ ‘리라릉(哩囉㖫)’ ‘야리리’ ‘야리라’ ‘야리라리’ ‘아리리’ 등이 나타난다. 그리고 일본, 그루지야, 터어키에서도 아라리와 관련된 구음들이 발견된다.
    중국에서는 ‘라리’와 ‘라리련’의 유래와 관련하여 범문(梵文) 로류로루(魯流盧樓) 유래설과 원대(元代) 라리회회(囉哩回回) 유래설이 제시되었다.
    아라리와 관련되는 구음은 페르시아의 집시와 같은 유랑예인집단 또는 불교 승려들이 세계 여러 나라에 퍼뜨렸던 것으로 나타난다. 여러 자료를 살펴볼 때, 집시 또는 그들과 유사한 유랑예인집단에 의한 아라리 또는 라리련 관련 구음의 전파는 11-13세기에 걸쳐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정선아라리 및 근대 민요 본조아리랑이 성립될 때, 기존의 ‘아리’ ‘아라리’를 차용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활용하여 아리랑이라는 새로운 독자적 구음을 만들어냈다.
    현전 민요 아리랑과 아라리에서는 아라리와 관련된 구음이 ‘아리’ ‘아라리’ ‘아라성’ ‘아리랑’ ‘아르렁’으로 나타나고, 다른 민요들에서는 ‘리루리’ ‘릴리리’ ‘라리라’ ‘라리’ ‘라따’ ‘리띠리’로 나타난다. 고려시대의 「청산별곡」에 삽입된 구음 ‘얄리’ ‘얄라리’ ‘얄라성’도 ‘아라리’ 계통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아리’ ‘아라리’ 구음의 유래는 고려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시용향악보』의 「구천」「군마대왕」「별대왕」「나례가」에서는 ‘로리’ ‘로라리’ ‘리라리’ ‘나리나’ ‘리런나’ 등의 구음이 보인다. 그리고 꼭두각시놀이의 여러 구음들 가운데, ‘아리’ ‘아라리’와 관련된 구음은 ‘나이나’ ‘리리’ ‘라라’ ‘니나노’ ‘나니네’ 등이다. 「불설명당경」에서는 ‘아라리’ ‘사라리’ ‘아리랑’, 『진언집』에서는 ‘아리’ ‘노나리’ ‘구나리’, ‘불성금강뎡유가최승비밀셩불수구 …’라는 경에서는 ‘알아리’ ‘아아리’라는 구음이 사용되었다. 그러므로 ‘아라리’와 관련된 구음들이 고려시대 이후 계속 전승되어 왔고, 우리나라 곳곳에 퍼져 있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의 민요, 전통연극, 가면극, 인형극 등에서는 한국의 아라리와 관련된 구음으로 ‘랄리(剌哩)’ ‘라리(囉哩)’ ‘라라리(囉囉哩)’ ‘나라리(那羅離)’ ‘라리련(囉哩嗹)’ ‘라리리(囉哩哩)’ ‘리라리(哩囉哩)’ ‘라리라(囉哩囉)’ ‘라리라(羅犁羅)’ ‘리라릉(哩囉㖫)’ ‘야리리’ ‘야리라’ ‘야리라리’ ‘아리리’ 등이 나타난다. 그리고 일본, 그루지야, 터어키에서도 아라리와 관련된 구음들이 발견된다.
    중국에서는 ‘라리’와 ‘라리련’의 유래와 관련하여 범문(梵文) 로류로루(魯流盧樓) 유래설과 원대(元代) 라리회회(囉哩回回) 유래설이 제시되었다.
    아라리와 관련되는 구음은 페르시아의 집시와 같은 유랑예인집단 또는 불교 승려들이 세계 여러 나라에 퍼뜨렸던 것으로 나타난다. 여러 자료를 살펴볼 때, 집시 또는 그들과 유사한 유랑예인집단에 의한 아라리 또는 라리련 관련 구음의 전파는 11-13세기에 걸쳐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정선아라리 및 근대 민요 본조아리랑이 성립될 때, 기존의 ‘아리’ ‘아라리’를 차용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활용하여 아리랑이라는 새로운 독자적 구음을 만들어냈다.

    영어초록

    In the folk songs Arirang and Arari, the sounds related to arari are often represented as ari, arari, arasung, arirang, areurung. In other folk songs, similiar sounds appear as riruri, rilriri, rarira, rari, ratta, or rittiri.
    In the poem “Cheongsan Byeolgok” from the Goryeo Dynasty era, the sounds yalri, yalrari, yalrasung, are assumed to have originated from arari. Therefore, the sounds ari and arari trace their origins back to the Goryeo Dynasty. In a similar vein, the sounds rori, rorari, rirari, and narina appear in the shaman songs “The nine celestial bodies”, “Gunmadaewang”, and “Byuldaewang” of the score book “Siyong Hyangakbo”. Moreover, in “Ggodugaksi Nori”, puppet show, the sounds naina, riri, rara, ninano, and naninae are related to the sound ari, arari. The Buddhist script “Bulseolmyeongdanggyeong” contains the sounds arari, sarari, and ariring, whereas the “Jineonjip” makes use of the sounds ari, nonari, and gunari. Therefore, it is evident that sounds related to arari were first transmitt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spread throughout the entire country.
    In Chinese folk songs, traditional dramas, mask dramas, and puppet shows, sounds related to Korea’s arari appear as ralri, rari, rarari, narari, rariryun, rariri, rirari, rarira, rirareung, yariri, yarira, yarirari and ariri. Sounds similar to arari also appear in Japan, Georgia, and Turkey. In China, roryuroru, from Sanskrit, and rarihoehoe, from the Won Dynasty are suggested as the origins of rari, and rariryun.
    It is suqqested that sounds related to arari were spread to the world by wandering troupes such as gypsi from Persia or Buddhist monks. Various documents point to the likelihood that sounds related to arari or rariryun by Gypsy or other wandering troupes were disseminated during a period stretching from the 11th to 13th centuries. When the “Jeongseon Arari” and the modern folk song “Bonjo Arirang} were established, the sounds ari and arari were adapted and used to create a new sound: arir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