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대일록』을 통해본 함양 사족층의 동향 (The local literatus class in Ham­yang region with reference to Ko­dae Diarie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2.03
32P 미리보기
『고대일록』을 통해본 함양 사족층의 동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33호 / 229 ~ 260페이지
    · 저자명 : 원창애

    초록

    임진왜란이 발발해서부터 광해군 초기까지 함양 사족의 일상을 기록한 『고대일록』을 통해서 당시 조선 사회의 모습을 재구성해 보았다. 함양은 일찍부터 사림파 군수인 김종직을 통하여 성리학을 접하게 되었고, 그 학풍을 계승한 곳이다. 성리학풍을 바탕으로 함양으로 이주한 성관에서 문과 급제를 통한 관원이나 생원진사시 입격자들이 배출되면서 함양의 재지사족으로 성장하였다. 사림파의 성리학풍을 계승한 함양 사족은 남명학파와도 맥이 닿았다.
    의리지학을 배우고 그것을 실천하는 것을 최고의 목적으로 하는 남명학파 인물들이 함양 사족으로 활동할 당시 임진왜란이 발발하였다. 함양 사족들은 그들의 배운 바를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의병활동에 참여하였다. 그들은 의병을 모집하고, 무기를 제작하였으며, 군자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활동이 임진왜란 초기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었다. 정유재란 당시 함양 역시 왜적의 피해를 입었으나, 의병 지원 활동이 계속되었다. 이것은 함양 사족이 엘리트로서 향촌 사회에 대하여 가졌던 책임의식을 여실히 보여준 것이다.
    전란 속에서도 사족들은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시켜 주는 경제 기반인 토지와 노비에 대한 강한 애착을 드러냈으며, 위기 상황에서 명분보다는 실리를 위해서 상행위까지 마다하지 않는 당시 선비의 유연성까지도 가지고 있었다. 사족의 사회적 지위는 경제 기반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었다. 중종대 규정된 사족은 경제적 부로 측정된 것이 아니라, 문․무과 출신의 자제, 생원․진사, 내외 사조 내의 顯官이 있는 자로 규정되어 있다. 즉 생원진사시 혹은 문․무과의 급제 여부, 과거를 통한 관료 진출 여부가 핵심이었다. 그러므로 전란 속에서도 사족들이 과거에 매달릴 수밖에 없었다.
    또한 선조 대에는 지방 유생의 상소가 공론으로 인정되는 사회였다. 중요한 사안이 있을 때 유생들은 상소를 통해 의견을 개진하였다. 일부 함양 사족은 정인홍이 주도하는 대북 계통의 유생이었기 때문에 사회 폐단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상소 이외에도 서인과의 공론 대결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정경운은 정인홍의 제자로 정치색이 뚜렷한 인물이기 때문에 일기 곳곳에서 서인에 대한 평가를 볼 수 있다. 이러한 모습 속에서 당시 지방 사족들이 정쟁에 가담하는 모습이 생생하게 드러내고 있다.
    전란 이후 향촌 사회의 복구에 앞장선 사족들은 향촌을 교화하고, 원악향리의 처벌을 강화하고, 사족들에 대해서도 儒罰을 내림으로써 그들 중심의 향촌 질서를 유지하였다. 이 시기 함양 내에 유력 사족 간의 갈등이 서원의 위차 문제로 표출되었다. 유력 사족의 이러한 갈등은 17세기 이후 서로 다른 정치 노선을 갖게 하는 단초가 되었다.

    영어초록

    'Ko­dae Diaries,' written by Kyeong­wun Jeong, began in 1592 when Japanese army invaded Choseon and ended in the early Kwang­hae reign. This contains detailed daily activities around the author himself as well as the pertinent persons and events. It allows us to reconstruct what the situations at the war time were like.
    Ham­yang region where he lived had been influenced earlier than any other places by the neo­confucianism through their county magistrate, Jong­jik Kim, who was a leader of the outside government or Sa­rim faction. The local literatus class in that region grew up from migrated families after their offsprings had begun to pass civil and military service examinations and accordingly assumed official positions in the government. They also communicated closely with the scholars of Nam­myong School.
    Neo­confucianism emphasized actual practices rather than mere theoretical debates. This ideology enabled them actively to take part in the Anti-Japanese Righteous Volunteer Fighters, when Japanese army invaded firstly in from 1592 to 1598 and secondly in from 1597 to 1598. Their reaction clearly reflected what they felt their responsibilities about their land as the local elite class.
    The diary also shows that the local literatus class concerned deeply about their economic basis such as cultivation land and slavery. Moreover, they were even involved in commercial activities, too, which belonged at that time mostly to merchant class. In the reign of King Jung­jong, literati were defined not by their economic wealth but by family members who were at least a public officer, a passer of local examinations, or a high officer within great­great grand father nodes including matrilineal line. This regulation explained the reason why they were strongly engaged in taking civil and military service examinations to maintain their status.
    In the reign of King Seon­jo, local confucian scholars were allowed to send their written opinions to king as a public opinion. Almost of all the literatus class in this area belonged to the Splinter Group of the Easterner (or Dae­Book) Faction, they tended to oppose to Westerners Faction (or Seo­in). The author, who was a disciple of In­hong Jeong, was so political that he often blamed the opposite people so many times in his diary.
    We can observe a positive function of local literati, on one hand, to recover their society and enlighten local people. They, however, began to confront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with such issues as setting up a tablet order in the shrine of local confucian schools which facilitated, at last, to divide into a different political faction after 17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