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만 민주화학생운동을 통해 본 민중가요 (People's Songs Seen through the Democratization Student Movement in Taiwan)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0.09
21P 미리보기
대만 민주화학생운동을 통해 본 민중가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어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어중문학 / 81호 / 57 ~ 77페이지
    · 저자명 : 황선미

    초록

    대만에서 민주화학생운동은 1987년 계엄령이 해제된 이후 크게 세 차례로 나누어 특정지울 수 있다. 1990년 3월에 일어난 ‘들백합운동(野百合學運)’, 2008년 11월의 ‘산딸기운동(野草莓學運)’ 그리고 2014년 3월에 발생한 ‘해바라기운동(太陽花學運)’이다. 학생운동이 일어날 때마다 학생들은 함께 노래를 불렀다. 노래는 학생운동의 동력이 되었다. 들백합운동에서는 〈아름다운 섬(美麗島)〉이, 산딸기운동에서는 〈산딸기의 소리(野莓之聲)〉가, 해바라기운동에서는 〈섬의 여명(島嶼天光)〉이 대표적으로 불리어졌다.
    들백합운동에서는 기존에 존재했던 노래를 불렀으며, 산딸기운동에서는 기존 노래 답습이 아닌 창작을 시도했지만, 이 두 시위에서 불리어진 노래는 시위노래로서의 기능적 효용성보다는 정신적 유대 강화라는 측면이 강조되었다. 이에 비해 해바라기운동에서는 노래가 운동의 전면에 나서기 시작했으며, 그 전과는 다르게 창작에 있어 적극성을 띠기 시작하면서, 대중에게 수용되어 폭넓게 불리어졌다. 〈섬의 여명〉은 민중에게 폭넓은 지지를 받으며 장기간동안 소셜네트워크에서 1위를 차지하며 큰 인기를 누렸다. 하지만 〈아름다운 섬〉과 〈산딸기의 소리〉는 대중적 인지도는 크지 않다. 본고의 문제의식은 여기서 출발한다. 이 같은 문제의식 속에서 본고는 민중가요에 관하여, 창작자와 수용자의 의식이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고 전승, 변모하였는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사회운동의 현상을 문화적 시각으로 해석하기 위한 시도이며, 대만 민주화운동과 대중음악사를 이해하는데 일조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Taiwan, the Democratization Student Movement can be specified in three major divisions after the martial law was lifted in 1987. They are the 'Lilies of the Field Movement(野百合學運)' in March 1990, the 'Wildberry Movement(野草莓學運)' in November 2008, and 'Sunflower Student Movement (太陽花學運)' in March 2014. Whenever the student movement took place, the students sang together. Songs became the driving force of the student movement. In the Lilies of the Field movement, “Formosa(美麗島)” was dubbed ‘People's Song’ and was sung, and in the Wildberry movement, “the Sound of Wildberry(野莓之聲)” was dubbed ‘People Song’ and was sung. In the Sunflower Student Movement, “Island's Sunrise(島嶼天光)” was dubbed ‘People’s Song’ and was sung.
    Regarding the songs sung in the Lilies of the Field movement and the Wildberry movement, the emphasis was on strengthening mental ties rather than functional utility as a protest song, such as singing an existing song. In contrast, at the Sunflower Student Movement, songs began to appear in front of the movement, and unlike before, as songs began to take an active role in creation, they were widely accepted and popularized by the public.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how the consciousness of creators and audiences has been revealed, transmitted, and transformed with regard to folk songs. This is an attempt to interpret the phenomenon of social movement from a cultural perspective, and it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aiwan's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popular music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어중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