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윗의 우리아 살인 교사 사건: 심리 분석 (An Analysis of the Psychology of David Who Ordered the Killing of Uriah)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0.05
36P 미리보기
다윗의 우리아 살인 교사 사건: 심리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회상담학회
    · 수록지 정보 : 목회와상담 / 34권 / 206 ~ 241페이지
    · 저자명 : 이재호

    초록

    사무엘 하 11장에는 다윗이 저지른 명백한 범죄가 기록되어 있다. 그는 밧세바에게 성범죄를 저지른 후 그녀가 임신을 하게 되자 그녀 남편인 우리아를 전장에서 불러들여 그녀와 동침시킴으로 자신의 간음을 감추려했다. 그러나 그것이 실패하게 되자 우리아를 전장의 사지로 몰아 죽게 만들고 밧세바를 취함으로 자신의 간음죄를 덮었다. 필자는 다윗의 이런 범죄행위, 특히 밧세바와의 간음 사건 이후에 우리아를 살인교사 하는 범죄를 저지르게 되는 이면에 그의 어떤 심리가 작용하고 있을지에 초점을 두고 다윗의 심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는 자기애라는 관점을 채택하였는데, 그가 우리아를 살인교사 한 이면에는 밧세바 사건이 노출될 경우에 그동안 추앙받던 위치에서 추락하여 조롱과 멸시의 대상이 될 것에 대한 불안이 작용하고 있을 것으로 해석하였다. 말하자면, 예견된 수치심 불안이 우리아를 사지로 모는데 기여했을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우리아를 죽임으로 자신의 치부가 드러나는 것을 숨기려한 다윗의 행위는 태초에 선악과를 따먹은 뒤 서로에게서 그리고 하나님의 시선으로부터 자신들의 치부를 가리고 숨으려 했던 아담과 하와의 행위가 겉모습만 바뀐 채 재현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왜냐하면 위대한 존재가 되고 싶은 환상에 훨씬 못 미치는 자신들의 모습이 노출되는 것을 수치스럽게 여기고 그런 모습을 숨기려한 측면에서 공통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 필자는 다윗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도 성경에서 인류의 조상이라고 여겨지는 아담과 그런 점을 공유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오늘날 우리도 존재론적으로 자기애와 수치심 불안을 갖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자기애적 욕망을 실현하거나 혹은 수치심을 방어하려고 시도하다가 잘못을 저지를 가능성을 항상 갖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런 가능성을 낮추기 위한 방법들로써 내면의 성찰, 수치를 당할 것을 각오하기, 낮은 자와 동일시하려는 노력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A crime committed by David is recorded in chapter 11 of 2 Samuel. After he slept with Bathsheba and she became pregnant, David tried to hide his adultery by summoning her husband Uriah from the battle and having him sleep with her. When the plan failed, David had him killed in the most dangerous spot on the battlefield and then took Bathsheba as his wife. I analyze David's psychology working in this process. From the viewpoint of narcissism, I hold that his crime would have been driven by the anxiety that he would drop from being an object of admiration to becoming an object of ridicule and contempt in case his adultery with Bathsheba was exposed. In other words, I see that his anticipated shame anxiety would have contributed to his criminal act relating to Uriah.
    I contend that David's attempt to hide his disgrace was a reenactment of the behavior of Adam and Eve, who tried to hide themselves from both each other’s and God's gaze after eating the fruit of good and evil. In both cases, they showed in common the fear of exposure and the behavior of hiding themselves. I also maintain that not only David but also all of us share those features with Adam, who is considered the ancestor of mankind in the Bible.
    In this vein, I argue that we, as descendants of Adam, ontologically have narcissism and shame anxiety and thus always have the possibility of doing evil while trying to realize narcissistic desires or defend shame. I offer introspection, determination to be humiliated, and efforts to identify with others as ways to reduce our wrongdoing derived from narcissism or sha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목회와상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