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슬람국가의 헌법과 샤리아 (Sharia and the Constitution in Muslim Countr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4.02
16P 미리보기
이슬람국가의 헌법과 샤리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법논집 / 38권 / 1호 / 17 ~ 32페이지
    · 저자명 : 문재완

    초록

    헌법은 한 국가의 최고규범이자 생활규범이다. 하지만 이슬람신도에게 최고규범이자 생활규범은 샤리아다. 이슬람사회에서 샤리아, 즉 이슬람법은 종교생활 뿐 아니라 가족생활, 사회생활, 경제생활 등 무슬림의 모든 생활을 지도한다. 헌법과 샤리아의 조화는 현대 이슬람국가가 당면하고 있는 최대 과제다. 가장 쉽게 조화를 이룰 수 있어 보이는 방법은 헌법이 샤리아를 수용하는 것이다.
    1950년 시리아를 시작으로 많은 이슬람국가들이 헌법에 샤리아를 수용하고 있다. 수용 방식은나라마다 다르다. 헌법에 샤리아를 수용한 나라도 있고, 샤리아 원리를 수용한 나라도 있고, 피크를 수용한 나라도 있다. 터키처럼 거의 모든 국민이 무슬림이지만 세속국가가 된 나라의 헌법에는샤리아 조항이 없다. 헌법에 샤리아 조항을 두더라도 샤리아를 ‘최고 법원(法源)의 하나’로 규정한나라도 있고, 샤리아를 ‘유일한 최고 법원’으로 규정한 나라도 있다. 헌법에서 샤리아를 최고 법원중 하나로 규정한 경우 실정법이 샤리아 규범과 일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최고 법원으로규정한 경우 실정법은 샤리아 규범과 일치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샤리아를 법원으로 인정할 경우 샤리아에 위반되는 실정법을 누가 어떻게 위헌심사 할 것인지 등 새로운 문제가 등장한다.
    샤리아의 법적 지위를 놓고 전통을 중시하는 보수파와 자유를 중시하는 진보파 간에 격론이벌어진다. 대표적인 국가로 이집트를 들 수 있다. 이집트는 샤리아 원리를 최고규범의 하나로 헌법에 수용했다가 유일한 최고규범으로 강화한 경험이 있는 나라다. 이집트에서는 헌법재판소가 판례를 통해 샤리아 원리의 의미를 확정하고, 사법심사의 가능성과 한계를 정립하였다. 하지만 샤리아의 법적 지위를 제한적으로 인정한 헌법재판소의 태도에 불만을 품은 이슬람 근본주의자는 헌법개정을 통해 한계를 극복하려고 하였다.
    샤리아 조항은 이슬람국가에서 앞으로도 큰 논쟁거리가 될 것이다.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은 샤리아를 최고규범으로 이해하는 데 반하여 자유주의자들은 최고규범 중 하나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해 차이는 개헌 논의에서나 사법심사에서 견해 충돌로 나타난다. 하지만 샤리아의법적 지위를 헌법보다 상위에 놓고, 샤리아의 범위를 폭넓게 해석한 후 이에 어긋나는 입법이 금지된다고 해석하는 근본주의적 해석은 인권을 침해하는 결과가 될 수 있다. 샤리아 중 시대와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변할 수 없는 규범은 훼손되지 않도록 보존하면서 시대정신과 공공의 이익을 수용하는 입법부의 재량 판단을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본다.

    영어초록

    The Constitution of a modern democratic country is the supreme law of the land and actually leads thepeople’s way of life. However, in Muslim countries, sharia has taken the highest position not only in the legalregime but also in Muslims’every aspect of life. Sharia, namely Islamic law, is not an unified form, thoughfour main sources of sharia are generally agreed upon as Quran(the God’s words), Sunna(the living examples ofthe Prophet), Isma(the consensus of the legal scholars’community), and Qiyas(reasoned analogy by jurists). Howto reconcile two laws, each of which claims the supremacy over the people is one of the major concerns inMuslim countries.
    Since 1970s many Muslim countries have tries to solve the problem by having a sharia clause in theConstitution, which requires adherence of all domestic law to sharia. There is some differences amongconstitutional provisions of each Muslim country in terms of the extent of requiring all law to be consistent withsharia. Egypt in 1971 had a clause which admits the principle of sharia as “a” primary source of law. HoweverEgypt amended the clause in 1980 which elevated the principle of sharia to “the” primary source of law.
    Adopting a sharia clause in the constitution cannot be the ultimate solution. New issues, such as who has theauthority or the power to decide that a law is unconstitutional for the discordance of its content with sharia,have arisen. Muslim countries have also introduced judicial review at a similar time when they held the shariaclause by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The Constitutional Court of each Muslim country has the burden toreconcile sharia and the Constitution. Generally speaking, they have reached a point that only the essence ofsharia shall not be violated but the legislative has the power to enact for the purpose of the public good in thearea where the essential part of sharia has not been infring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