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춘추좌씨전』의 군주시해를 통해 본 군주의 무도함과 합법성 (The lawlessness and the legitimacy of the ruler as seen through the regicide cases in the 『Zuozhuan(左傳)』)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5.02
33P 미리보기
『춘추좌씨전』의 군주시해를 통해 본 군주의 무도함과 합법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24권 / 1호 / 1 ~ 33페이지
    · 저자명 : 손애리

    초록

    본고는 군주시해가 『춘추좌씨전』(이하 『좌전』) 경문에 기록된 방식을 살펴보고, 『춘추』의 군주시해 평가 및 군주의 무도함과 합법성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군주시해에 대한 『좌전』의 경문을 모두 뽑아 분석대상을 확정하고, 『좌전』의 기술을 통해 사건의 내용을 대략적으로 개괄한다. 본격적 검토에서는 표기 방식의 차이에 근거해 『좌전』이 무도한 군주와 합법적 군주를 판별하고 설명하는 방식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분석을 통해 확인된 것들을 요약하고 향후 과제와 함께 군주시해와 관련한 정치사상적 함의를 제시한다. 『좌전』선공 4년의 범례는 무도한 군주가 시해된 경우 『춘추』는 시해한 신하의 이름을 밝히지 않는다고 지적하는데, 이는 군주시해를 일부 정당화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고는 군주의 무도함의 성격을 특정하고자 시도했으나 일관된 기준을 확인하기는 어려웠다. 이것은 『춘추』와 『좌전』의 거리에서 기인하기도 하며, 정치윤리의 감각이 오늘날과 크게 다르다는 것도 이유가 될 것이다. 또한 군주의 지위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弑’가 아닌 ‘殺’로 시해사건을 표기하는 사례들이 있는데, 이는 합법적 군주를 판별하는 하나의 기준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특히 주목할 것은 찬탈을 통한 즉위가 합법적 군주(成君)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점이다. 군주시해의 정당화 및 찬탈군주에 대한 인정 등은 ‘춘추의리론’의 관점에서 비판받아 왔지만 동아시아 초기 정치공동체의 사상적 자원의 일부로 진지하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way in which the regicide is recorded in the 『Zuozhuan(左傳)』) scriptures, and examines the 『Zuozhuan』’s evaluation of the regicide and its perception of the legitimacy and lawlessness of a ruler. To this end, I first select all of the 『Zuozhuan』scriptures on the regicides of rulers to determine the analysis target, and then roughly outline the incidents through the 『Zuozhuan』 articles. In a full-scale review, I analyze the way in which the 『Zuozhuan』 distinguishes and explains legitimate rulers and unjust rulers based on differences in the notation method and referring to the exemplum of Fourth Year of the Lord Xuan(宣公). Finally, I summarize what I have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and present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implications related to the regicide along with future tasks. According to the exemplum, not revealing the name of the subject who committed the regicide means that the murdered ruler violated the way of rulership(君無道), which can be considered to partially justify the regicide of the monarch. I attempted to specify the nature of the lawlessness of a ruler, but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consistent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re are cases where assassination incidents are written as ‘killing(殺)’ instead of ‘regicide(弑)’ despite the status of a ruler, which is important in that it shows on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qualifications of a legitimate ruler. It is particularly noteworthy that the accession through usurpation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determining the ruler's legitimacy. The justification of the regicide and the recognition of a usurper ruler have been critici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unqiu obligation(春秋義理)’, but they need to be seriously reviewed as part of the ideological resources of the early political community of East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