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침략및강점기에 대한주변국들의역사인식 -한국, 중국, 대만고등학교 역사교과서를중심으로 (Perception of modern Japanese invasion in Korea, Chinese and Taiwanese high school textbook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1.05
38P 미리보기
일본침략및강점기에 대한주변국들의역사인식 -한국, 중국, 대만고등학교 역사교과서를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교육연구 / 13호 / 44 ~ 81페이지
    · 저자명 : 안지영

    초록

    역사적 사실과 그 사실에 대한 기술은 한 나라가 다음 세대의 방향과 그 의지가 담겨 있다는 점에서 역사 교육과 그 역사교육의 도구인 역사교과서는 역사적 사실을 차지하더라도 다른 어떤 교과목보다 한 나라의 관점과 의지를 엿볼 수 있는 수단이다. 특히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의 일본‘제국주의의 침략’더 나아가‘강점’이라는 동북아시아의 여러 나라가 가지는 공통의 역사적 경험이 동북아시아 각 나라의 역사교과서를 통해서 어떻게 기술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그 나라의 역사적 인식뿐만 아니라 그 나라가 역사교육을 통해서 무엇을 다음 세대에 심어주려고 하는 것인지 극명하게 알 수 있다. 이에 일본의 침략이라는 공동의 역사적 기억을 가지고 있는 주변국인 한국, 중국, 대만이 그 공동의 기억에 대해 어떻게 역사적으로 해석하고 전승하고 있는지 고등학교 역사교과서를 통해 알아보았다.
    한국의 경우 역사교과서에서 일본의 조선 침략 및 강점은 일제의 억압과 말살, 이에 대한 민족의 저항이라는 이분법적 구도 하에서 상당히 심도 있게 다뤄지고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조선은 근대화라는 역사적 흐름에 피동적이고 수동적인 국가로 그려지고 있으며 그속에서 이를 극복하려는 민족의 노력이 강조되고 있다.
    중국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서 이 시기에 대한 서술기조는 중국에 대한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과 함께 중국 공산당의 성립, 중국 공산당과 국민당 간의 10년 내전 및 국공합작, 중일전쟁의 승리, 해방전쟁이라는 중국 근현대사의 주요 흐름을 통해 부지불식간에 중일전쟁에 있어서의 공산당의 주도적 역할과 공헌 및 중국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성립의 당위성으로 연결되고 있다.
    대만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서는 한국, 중국 고등학교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일본의 대만 식민지 시기 동안의 차별, 강압정책 및 인적, 물적 수탈, 이에 대한 대만인들의 항일운동에 대해서도 서술하고 있기는 하지만 최근 대만의 탈중국화된 시각의 대만사 교육과 맞물려 일본에 의한 대만의 근대화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기술하고 있다는 점이 한국, 중국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와 차별화되는 점이다.
    이러한 삼국(三國)의 일본 침략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은 해당국의 정치적 입장 및 민족 혹은 국가의 정체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고, 각국이 지향하고자 하는 역사적 방향성에 따라 취사·선택된 역사적 사실들이 교육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History education and history textbooks better represent a country’s viewpoint and intention, as well as historical facts, than any other subjects and textbooks, in that the description of historical facts reveal the country’s volition and direction for the next generation. In particular, examining how Northeast Asian countries, which have a common historical experience of “invasion and colonization by Japanese imperialism during late 19th and early 20th enturies, describe the experience through their history textbooks clearly express not only the countries’ historical recognition but also what the countries intend to hand over to their next generations. On this, I examined the highschool history textbooks of Korea, China and Taiwan, which are countries sharing common historical experience of Japanese invasion, in order to find how the three countries interpret and hand down their common experience: the Korean history textbook describes Japanese invasion and colonialization of Joseon in detail in a bisectional viewpoint of repression and genocide by Japan and people’s resistance against them.
    Therefore it depicts Joseon as a country that responded to a historical trend of modernization in a relatively passive way, and it emphasizes the people’s efforts to overcome hardship. The basis of the Chinese textbook describing the period is that: it showcases major flows of Chinese modern and comtemporary history such as the invasion of China by the World Powers; the establishment of the Chinese Communists Party; the 10-year internal war between the Chinese Communists Party and the Nationalist Party and the two parties’cooperation; the victory in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liberation war. Then it tacitly links this historical flow to the leading role and contributions of the Communists Party in the Sino-Japanese War and legitimac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Taiwanese history textbook also describes discrimination and repression during Japanese colonialization of Taiwan, human and material exploitation and Taiwaneses’anti-Japanese movements. But it is different from Korean and Chinese history textbooks in that a recent de-Chinafication trend in Taiwan influenced its history education so that the textbook also describes the positive aspects such as the modernization of Taiwan by Japan. Examining the textbooks, it is apparent that the three countries’different interpretation of Japanese invasion is closely related to each country’s political position and the identity of the country or the people. And it is also clear that historical facts that are being educated in each country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ir intented historical dire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