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후창 김택술의 역사인식과 대처 -20세기 유교 지식인의 인간의 삶과 역사에 대한 논리- (Hu Chang Kim Taek-sul's Historical Perception and Response: The Logic of Life and History from a 20th Century Confucian Intellectual)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3.12
38P 미리보기
후창 김택술의 역사인식과 대처 -20세기 유교 지식인의 인간의 삶과 역사에 대한 논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49권 / 101 ~ 138페이지
    · 저자명 : 함영대

    초록

    후창 김택술은 전통적인 유교 지식인의 입장에서 일제강점기인 당대에도 여전히 “오직 힘써 성현의 가르침을 따르고 예와 복에 자신을 신칙하며, 조상의 뜻을 대대로 이어나가 불효를 면하는 데 있다”고 믿고 “정치와 교화의 방법을 궁구하여 이를 자신의 몸에 체득하고 남에게 시행하여 백성들에게 생업을 편안히 하고 성품을 이루게 하며, 포부를 펼칠 수 있는 때를 얻으면 그 혜택이 성대하고, 비록 곤궁할지라도 풍의(風義)와 조리 있는 언론을 통해 세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자가 선비”가 되길 다짐하고 권면했다.
    그의 역사인식의 단면을 살필 수 있는 <관조선사(觀朝鮮史)>에서는 형제상속의 문제와 적자 서자의 문제에서 그는 매우 분명한 명분론적인 입장을 제시했으며 이러한 입장은 여성들의 입장을 고려하지 못하는 다소 강경한 방식으로 표출되기도 했고 자유로운 정치 언론에 대한 보수적인 측면의 강조로 이어지기도 했다. 그는 자신의 사관에 비추어 매우 엄정하게 인물들의 선택을 비판했는데 역사 사실 자체에 대한 오류 문제는 물론 문헌에 대한 비판도 상당히 진지하게 제시했다그는 역사인식의 과정에서 벽이단, 특히 불교에 대한 강렬한 비판의식을 드러냈다. 이것은 유학자로서의 자기 정체성의 발로일 것이지만 학술적인 검토를 거친 것이라기보다는 너무도 당연한 자기 확신의 결과에 의한 것이며, 세조와 남명에 대한 비판은 어느 정도 인신공격과 학술인식의 편향성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이 외에도 드물지 않게 서자의 등용이나 관백인식을 통해 외교항례에 대한 적실한 시각을 드러내기도 했으며 국방의 준비 등에 대해 매우 탁월한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는 경세적 측면에서 주의깊게 볼만한 것이다.
    그는 남명과 중봉, 학봉, 효종의 역사 행위에 대해 매우 냉정하게 그 본질적인 문제를 짚었다. 이러한 역사인물에 대한 판단은 명분론적 시각이라기보다는 역사사실에 대한 이해와 당대 시의에 대한 확고한 인식을 바탕으로 진행된 것으로 이는 짐작에 불과한 것이지만 상당한 설득력이 지닌 것이기도 하다.
    그의 조선사에 대한 독법은 20세기 이후 전통시대 유학자의 조선사에 대한 인식을 살피는데 매우 요긴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Hu Chang Kim Taek-sul's standpoint: ev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adhered strictly to the teachings of sincerity and maintained respect for propriety and blessings, believing in continuing ancestral will through generations, avoiding filial impiety. He emphasized seeking political and educational methods, integrating them into personal conduct, implementing these for the ease of the people’s livelihoods and cultivation of character, aspiring for opportunities to showcase these virtues even in adversity, and through upright and just discourse, sustaining societal order, aspiring for the role of a nobleman.
    An analysis of his historical perspective, seen in his ‘Gwanjo Seonsa,’ revealed a clear position on issues of inheritance and the roles of sons and grandsons, which, while strongly grounded in principles, sometimes lacked consideration for women's perspectives. This occasionally led to a rigid expression and a conservative emphasis on free political discourse. He rigorously criticized individuals based on his principles, not only questioning historical facts but also seriously critiquing historical documents.
    In his process of historical perception, particularly evident in his strong critique of Buddhism, he showcased a vigorous anti-Buddhist sentiment. This might have been an expression of his scholarly identity, but rather than the result of rigorous academic scrutiny, it seemed more of a natural outcome of his strong convictions. His criticism of Sejo and Nammyeong to some extent bordered on personal attacks and exhibited biases in scholarly perception.
    Occasionally, through his assessments of son's appointments and officials’ perceptions, he revealed insightful perspectives on diplomatic propriety, defense preparations, among other things, which merit attention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He critically assessed the essence of Nammyeong, Joongbong, Hyojong's historical acts, reflecting not merely a perspective based on principles but rather a solid understanding of historical facts and a firm grasp of contemporary sentiments. This assessment, while speculative, holds considerable persuasive power.
    His unconventional approach to Joseon history could serve as a valuable resource for understanding traditional era scholars’ perceptions of Joseon history in the 20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