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90년대 한국 영화문화에서 ‘예술영화’라는 이념을 재구성하기: 최초의 예술영화 전용관 ‘동숭씨네마텍’을 중심으로 (Reconstructing the Idea of ‘Art Cinema’ in the 1990s Korean Film Culture: Dongsoong Cinematheque, the First Art-Cinema-Dedicated Theater)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3.12
45P 미리보기
1990년대 한국 영화문화에서 ‘예술영화’라는 이념을 재구성하기: 최초의 예술영화 전용관 ‘동숭씨네마텍’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화연구 / 98호 / 279 ~ 323페이지
    · 저자명 : 이선주

    초록

    이 논문은 1995년 개관한 최초의 예술영화전용관 ‘동숭씨네마텍’에 대한 역사적 분석을 통해 한국 영화문화의 장에서 ‘예술영화’의 이념을 재구성하고, 당대예술영화, 단편영화라는 구성물의 의미와 한계를 2000년대 이후 독립예술영화문화에 끼친 영향력과 관련해서 조명한다. 예술영화는 텍스트적 특징의 질문들로 환원될 수 없다고 보는 스티브 닐의 ‘제도로서의 예술영화’는 예술영화가 유럽에서 미국의 지배적인 영화산업에 대항하는 동시에, 각 국가의 영화산업과 영화문화를 배양하는데 어떤 역할을 했는가를 고찰한다. 닐은 할리우드와의 차별화 전략이자 대안으로서 제시된 예술영화담론에서 중요한 것은 미학적, 스타일적 특징들만이 아니라, 관련 국가에 특정한 고급 예술과 문화적 전통으로 눈을 돌리는것임을 주장하면서, 예술영화가 제작, 유통, 배급, 상영되는 ‘제도로서의 예술영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시각은 1980년대 후반 이후 외화 수입 자유화와 비디오테크들의 관객운동으로 예술영화 잠재 관객층이 형성되는가 하면, 대기업 참여와 장르 영화 부상 등으로 영화산업의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정책적, 제도적 변화와 함께 현재 한국영화계의 시스템이 시작된 1990년대 한국영화의 역동성 속에서 탄생한 예술영화 붐을 이해하는데 유효한 접근방식이다.
    본 연구는 한국 예술영화의 짧은 전성기에 탄생한 예술영화전용관으로, 오늘날예술영화지원정책의 근간이 되기도 한 동숭씨네마텍을 제도(정책)와의 협상이라는 관점에서 탐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용관 승인 조건과 관련된 상영프로그램들을 통해 한국영화사에서 ‘예술영화’와 ‘단편영화’라는 이념적 구성물을 재구성하고, 공공 시네마테크의 부재 속에 시네마테크의 기능을 대리보충하고자 했던 관객문화 운동의 의미를 분석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constructs the idea of ‘art cinema (yesul yŏnghwa)’ in Korean film culture through a historical analysis of Dongsoong Cinematheque, the first art-cinema-dedicated theater (yesul yŏnghwa chŏnyonggwan) which opened in 1995. In so doing, it also examin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art cinema and short film as institutional and cultural constructs in relation to their influence on the independent and arthouse film culture since the 2000s. Suggesting that art cinema is not reducible to questions of textual features, Steve Neale’s concept of the ‘art cinema as institution’ investigates the roles that art cinema has played in Europe in countering the dominant American film industry and in cultivating each of its national film industries and film cultures. What matters in the discourse of art cinema as a strategy of differentiation and an alternative to Hollywood, according to Neale, is not only its aesthetic and stylistic features but also the specificities of a particular national cinema, its cultural traditions, and its high art in each nation-state. He eventually calls for a systematic analysis of ‘art cinema as institution’ in which art films are produced, circulated, distributed, and screened. Neale’s concept is a valid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dynamics and layers of Korean cinema in the 1990s, when the paradigm shifts in the film industry, including the participation of conglomerates and the rise of genre cinema, initiated the current system of Korean cinema along with its policy and institutional changes. This paper explores Dongsoong Cinematheque, an art-cinema-dedicated theater which was born during the brief heyday of Korean art cinema and which formed the basis of today’s art cinema support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its negotiation with institutions and policies. In particular, it reconstructs the ideas of ‘art cinema’ and ‘short film (tanp’yŏn yŏnghwa)’ in Korean film history by revisiting the theater’s screening programs that are supposed to have been planned in response to the government’s approvals and disapprovals of the art-cinema-dedicated theater, and by investigating various cultural activities that sought to supplement the functions of cinematheques amid their absence in the public sphe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