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한제국기 槐山郡 陵村里 농민층의 경제적 지위 - 안동김씨 제학공파 동족마을 사례 - (Land Ownership’s Economic Status in the Neungchon Village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3.02
36P 미리보기
대한제국기 槐山郡 陵村里 농민층의 경제적 지위 - 안동김씨 제학공파 동족마을 사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39권 / 219 ~ 254페이지
    · 저자명 : 김의환

    초록

    능촌리는 안동김씨 제학공파의 동족마을이다. 광무양안에는 이 마을에 능촌과 세곡평 등 9개의 자연촌이 있었고, 모두 86호가 있었다. 김씨는 41호(47.7%)가 살았고, 이들은 평균 3.45칸의 초가집에 거주하였다. 강호주는 가장 큰 15칸짜리 집에서 살았고, 김상욱과 신운경은 2채씩 소유하였으며, 5칸짜리 서당도 있었다.
    마을의 토지는 밭이 16결 48부 6속(41.4%)이었고, 논이 23결 36부 8속(58.6%)로 모두 39결 85부 4속이었다. 이 가운데 김씨는 28결 46부 7속(77.5%)을 소유하였고, 21결 9부 4속(54.4%)을 경작하였다. 1결 이상을 소유한 사람은 모두 9명이었는데, 2~3결은 2명, 3결 이상은 1명뿐이었다. 김병호는 마을에서 3결 94부 1속(9.9%)을 소유하였다.
    당시 지주들의 토지 소유와 경영을 살펴보면, 대지주가 없었고 그 규모가 크지 않았다. 1결 이상 소유자는 9명에 불과하였고, 최대 지주는 3결 94부 1속 정도였다. 주민의 직영 비율이 높다는 점이다. 상위 지주들은 대체로 70~100%를 자경하였다.
    충주군과 달리 경영지주와 병작지주는 많았으나, 광작농은 전혀 보이지 않았고, 이들은 자신의 거주지 주위에 대부분의 토지를 집중시켜 생산에 유리한 효율적인 농업경영을 도모하였다.
    그리고 능촌리 주민들의 1/3이 넘는 31명(37.4%)은 전혀 자신의 토지를 소유하지 못하였다. 이것은 충주군 전체(24.7%)와 풍덕리(18%)와 비교하면 매우 높아 경제적 지위가 열악하였음을 보여준다.
    농민층의 경제적 지위는 83명 가운데 1결 이상의 부농은 9명(10.8%)에 불과하였고, 중농과 소농은 각각 6명(7.2%)이었으며, 빈농은 무소유 경작인 31명을 포함하여 62명(74.7%)이었다. 이러한 양상은 하층 농민층의 몰락과 함께 지주층의 상향화 추세가 증가하면서 토지소유의 양극화 현상이 심각하였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ere were 86 folk houses(戶) in nine small hamlets, Neungchon village(陵村里) of Goesan-gun(槐山郡). Among them, the number of Andong Kims' folk houses were 41(47.7%). On average, each of them lived in 3.45 kans(間) of thatched houses. Gang Ho-ju lived in the biggest house, 15 kan of thatched house. Each of Kim Sang-uk and Shin Un-gyeong owned two houses.
    Land of village was distributed over 24 areas. Fields were 16 gyeol(結) 48 bu(負) 6 sog(束)(41.4%) and rice paddies were 23 gyeol 36 bu 8 sog(58.6%). Therefore, total fields were 39 gyeol 85 bu 4 sog. Kims owned 28 gyeol 46 bu 7 sog(77.5%) and Kim Byeong-ho had 3 gyeol 94 bu 1 sog, 9.9% of land.
    At that time, landlords' landholding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re were no big landowners and the scale was not big. The owners of 1 gyeol and over were only nine persons and the richest landowner owned just 3 gyeol 94 bu 1 sog.
    Second, landowners who ranked high cultivated land ranged from 70 to 100 percent by themselves.
    The third, differently from the Chungju-gun(忠州郡), managemental landowners and sharecropping landowners many appear. Ten landowners who ranked high were managemental and sharecropping landowners.
    Lastly, landowners centralized their lands around their residential district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gricultural management. However, 31 residents(37.4%) had no their own lands.
    Now, take a look at residents' economic staus in Neungchon-ri. Among 83 residents, the rich farmers of 1 gyeol and over were only nine persons(10.8%) and each of middle-class farmers and small farmers was six persons(7.2%). Poor farmers were sixty two persons(74.7%) including thirty one farmers who had no own lands. This show the collapse of lower farming class and the uptrend of landowning class was accelerated. As a result, the polarization of landholding has become more serio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