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묘지 및 묘비음기를 통해 본 최세진과 槐山崔氏 가문 (A Study on Choi Sejin and the Goesan Choi Clanthrough Burial tablet(墓誌) and Tombstone Inscriptions(墓碑陰記))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3.11
33P 미리보기
묘지 및 묘비음기를 통해 본 최세진과 槐山崔氏 가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65권 / 47 ~ 79페이지
    · 저자명 : 황철균

    초록

    본고에서는 15∼16세기에 활동했던 조선의 한글학자, 어문학자인 公瑞 崔世珍의 생애와 관련된 문헌 내용들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그의 本貫 성씨인 槐山崔氏 가문의 家系史를 파악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렇지만 국어학계, 조선사 관련 학계에서 지난 수 십 년간 최세진의 생애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어도 관련 자료가 많지 않아 어려움이 있었다.
    비록 최세진의 생애를 기록한 墓碑는 현재 전해지지 않지만, 그의 생몰년 정보가 기록된 문화재 자료가 남아 있는데 바로 墓誌이다. 1980년대 초반, 경기도 과천시에서는 신도시 아파트 단지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최세진과 그의 부인이었던 永川李氏의 생몰년, 葬地 내용이 새겨진 陶板 墓誌가 발견되었다. 이 묘지를 통해 문헌 자료에서는 정확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았던 최세진이 사망했을 때의 나이, 그리고 출생 시기가 무자년(1468)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묘지와 연계하여 최세진 및 괴산최씨 가문과 관련된 문헌 자료 가운데, 16세기에 활동했던 조선의 학자이자 문신 관료였던 頤菴 宋寅이 남긴 문집인 『頤庵遺稿』를 들 수 있다. 『이암유고』에는 현재 전해지지 않는 최세진의 묘비 뒷면에 기록하였던 내용인 陰記가 전해지고 있다. 음기는 「同知中樞府事崔公墓碑陰記」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는데, 여기서 崔公은 최세진을 뜻한다. 묘비음기의 내용을 살펴본 결과 최세진의 아들인 최감이 성세창에게 아버지의 묘비문 찬술을 요청하는 내용, 그리고 최세진의 후손 系譜 및 활동, 친인척들에 대한 현황 내용들이 충실하게 기록되어 있다.
    최세진의 묘비음기와 더불어 그의 생애를 살펴볼 수 있는 또다른 자료는 본관 성씨인 괴산최씨 문중에서 계보를 정리하여 기록한 족보인 『槐山崔氏世譜』이다. 이 족보에는 최세진을 1대 中始祖로 설정하고 그 이하 자녀 및 후손들에 대한 계보가 나와 있어 기존의 문헌 사료를 보완하고 있다. 『괴산최씨세보』의 내용과 『이암유고』의 「동지중추부사최공묘비음기」의 내용을 서로 교차 검증하여 최세진 및 괴산최씨 가문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현재 전해지지 않는 성세창이 찬술하였던 최세진의 묘비문이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었을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historical materials and data on the life of the Korean scholar and linguist Gongseo Choi Sejin (崔世珍: 1468~1542) who lived betwee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in Joseon, who has been little studied so far. This research focuses on examining the historic records of his family lineage, as well as the Goesan Choi clan(槐山崔氏).
    The Korean language Academia and the Korean History Academia have studied the life of Choi Sejin for the past decades, but found it extremely hard to explore his life because the information available on his life was sparse.
    Although there is no tombstone with the record of Choi Sejin’s life, a cultural heritage material with the record of the years of his birth and death, a burial plate, remains. In the early 1980s, a ceramic burial tablet, which contains the data on the years of birth and death of Choi and his wife from the Yongcheon Lee clan(永川李氏), was excavat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new apartment complex in Gwacheon City,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Through this burial tablet, it was identified that Choi Sejin was born in the year of Muja(1468). Based on this finding, It is presumed that Choi Sejin's tombstone was erected at the very site where his burial tablet was found.
    There are some other detailed record on the life of Choi Sejin’s life, which no academia has investigated so far. The Josoen scholar Iam Song In(頤菴 宋寅: 1517~1584) left A Collection of Post Humous Works Compiled By Iam(『頤庵遺稿』), a noticeable historical data. Although this collection does not contain a comprehensive record of Choi Sejin’s life, it includes ‘Eumgi(陰記)’, the record of his life inscribed on the back of the tombstone that reads under the following title, ‘DongjijungchuBusaChoiGongmyobi-Eumgi(同知中樞府事崔公墓碑陰記)’, where ‘Choi Gong’ refers to ‘Choi Sejin.’ By deciphering the content of Song In's tombstone inscription, it was possible to discover the previously unknown facts about Choi Sejin, such as the fact that his son Choi Gam made a request to Seong Sechang a eulogy for his father’s tombstone. The inscription also provides the details about Choi Sejin's descendants and relatives. It is significantly meaningful because the descendants’ activities and history of his family, the Goesan Choi clan, can be discovered in detail.
    In addition to Song In’s tombstone inscription, there is another material, titled “The Goesan Choi Clan Genealogy(槐山崔氏世譜),” which organizes and records the lineage of the main clan, the Goesan Choi clan. This genealogy designates Choi Sejin as the first-generation central ancestor(中始祖) and provides a lineage for his children and descendants, thus complementing the existing written historical materials. By cross-examining the content of the genealogy and the ‘DongjijungchuBusaChoigongmyobi-Eumgi(同知中樞府事崔公墓碑陰記)’of Iamyugo, the history of Choi Sejin and the Goesan Choi clan can be identifi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for the content of the tombstone inscription written by Seong Sechang which has not been discovered y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