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쓰기 동기화 과정에서 동기 요소의 역할에 대한 연구- 자료 통합적 글쓰기를 경험한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role of motivational elements in writing-motivated process -Focused on high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writing from source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7.09
29P 미리보기
쓰기 동기화 과정에서 동기 요소의 역할에 대한 연구- 자료 통합적 글쓰기를 경험한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작문연구 / 34호 / 139 ~ 167페이지
    · 저자명 : 김태경

    초록

    이 연구에서는 쓰기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는 숙련된 필자가 되기 위해 스스로 노력하도록 ‘동기화된’ 학습자를 키워내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쓰기 교육의 지향점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과정으로, 먼저, 쓰기 동기의 가장 핵심 요소로 꼽히는 쓰기 효능감에 대해 로저외(Roger et al., 2013)의 검사 도구를 활용해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를대상으로 2차례 이상 여러 차례 자료 통합적 글쓰기를 경험한 연구 참여자와 다른 학습자 간 비교를 통해 통계적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동기 요소들이 쓰기 맥락에서 어떤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참여자와 다른 학습자간 쓰기 효능감의 차이는 표상 과정, 관습, 자기 조절의 하위 요인으로 세분화해서 살펴보았고, 이에 덧붙여 쓰기에대한 호감 정도를 함께 측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체로 비교 집단보다 쓰기 효능감이 높았다. 쓰기 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에서 관습, 자기조절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쓰기 호감 정도에서도그러하였다. 하지만 쓰기 효능감의 하위 요인인 표상 작용은 통계적으로유의하지 않았다.
    자료 통합적 글쓰기에서 쓰기 동기 요소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사한 인터뷰를 개방코팅, 축 코딩, 선택 코딩의 3단계를거쳐 분석하였다. 중심 범주는 로저 외(2013)의 검사 도구의 쓰기 효능감 하위 요인을 고려하여 ‘글쓰기의 계기’, ‘아이디어의 생성’, ‘관습’, ‘자기 조절’로 설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동료 집단에 대한 ‘모델링’이 글쓰기 계기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연구 주제와 관련한 아이디어 생성은개인적인 ‘흥미’로 형성된 배경 지식에 의존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학술적 성격의 자료 통합적 글쓰기 관습을 교수나 피드백을 통해 배우면서 ‘쓰기 효능감’을 향상시켰다. 그리고 자료 통합적 글쓰기와 관련한 지속적인 글쓰기 훈련을 과 같은 자기 조절 과정에 참여하였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writing education should aim at developing 'motivated' learner to work on their own to become experienced writer. As a process to shape th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s aim, first, the test tool(Roger et al., 2013) was used to compar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second year research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writing from sources two or more times and other learners of the same grade about writing self-efficacy,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writing motivation. And then, interviews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firmed how motivational elements play a role in the context of writing.
    The differences in writing self-efficacy between participants and other learners were subdivided into subcategories of ‘Ideation’, ‘Convention’, ‘Self-regulation’. In addition, ‘Liking Writing Scale’ was measured together.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generally high in writing self-efficacy than the comparative group.
    Among the sub-factors of writing self-efficac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vention’ and ‘Self-regulation’ factors, and even in ‘Liking writing scale’. However, ‘Ideation’, the sub-factor of writing self-efficac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rder to see how writing motivational elements play a role in writing from sources, the transcriptions of participants’ interviews were analyzed.
    Interviews were analyzed through three steps: open coat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center category was set as 'The moment of writing', 'Generation of ideas', 'Convention', and 'Self-regulation' consideri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writing efficacy of Roger et al.(2013).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influenced by peer groups who were participated in writing from sources through ‘modeling’. Specifically,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influenced by the atmosphere, observed their peers or were encouraged by them. The creation of ideas related to research topics depended on their background knowledge formed by personal ‘interests’. And they improved the writing self-efficacy by learning the academic convention writing from sources through teaching and feedback. Also, they participated in self-regulated processes such as continuous writing exercises related to writing from sour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작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