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에서 쓴 ‘한국문학사’의 한시(漢詩)작품 수록 양상 연구 (A Study on Introducing Sino-Korean Poetry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Books Published in Chin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2.07
36P 미리보기
중국에서 쓴 ‘한국문학사’의 한시(漢詩)작품 수록 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75호 / 109 ~ 144페이지
    · 저자명 : 장예

    초록

    본고는 중국에서 쓴 ‘한국문학사’ 전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바탕으로, 중국 내 한국문학사 기술(記述)과 연구의 정량적 분석틀을 제시하고자 하는 작은 시도의 결과이다. 이를 위해, 중국에서 쓴 한국문학사에 등장하는 한국 한시 작품들의 양상 분석에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은 중국의 한국문학사 연구자들이 한국 한시를 연구하고 있는 성과와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는 이상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통계분석을 중심으로 중국에서 쓴 한국문학사에 수록된 한시들의 시대 구분, 작가 구성, 언급 빈도, 제목 표기, 원문 인용과 내용 설명 등 면에서 드러난 특징들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와 그림 등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형식으로 작성하였다. 본고의 연구 결과를 간략히 설명하면, 조선과 고려 시대의 한시 작품들이 문학사에 많이 수록되어 있지만 삼국과 그 이전 시대 작품에 대한 내용 분량이 적지 않다. 이는 고대의 한시 작품 수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작품의 수량을 보면 이규보, 이제현과 최치원 등 20명 작가들의 작품은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한다. 그 외 작품의 제목표기방법을 보면 현대역(現代譯, 현대 한국어로 번역된 글)으로 된 것으로부터 한자 또는 한자음으로 변화된 추세가 보인다. 그렇지만 글자가 많고 문장체 제목은 계속 현대역으로 표기된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중국의 한국문학사를 집필한 한국문학 연구자들이 바라보는 한국문학에 대한 주요 관심 포인트 혹은 그들이 생각하는 한국문학사만의 독특한 특징이 무엇인지를 정량적으로 확인 가능한 지표를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중국 내 한국문학사 연구자들은 어쩔 수 없이 자국문학사(중국문학사)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한국문학사를 이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향후 다른 문학 작품과 작가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며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한중 학자들이 문학사 서술의 방법과 관점에 나타난 이동(異同)을 종합적이고 자세하게 살펴볼 계획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he result of an attempt to present a quantitative analysis framework of a previous study on Korean literature history in China, based on a database. The database, called ‘Database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Published in China’(DKLHPC), was established by the author of this paper. The introduction of Sino-Korean Poetry in the database has been analyzed here and is the focus of this study. Basic data can be presented as part of this analysis understand the achievements and trends of Chinese researchers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studying Sino-Korean Poetry. To realize the above goal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erms of period classification, writer composition, frequency of mentions, title notation, citation and content explanation of poems written in China. Subsequently, the results were compiled to be easy to grasp, in the form of tables and pictures. The results showed that many works of poetry from the Joseon and Koryo periods are includ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but the number of works represented from the Three Kingdoms and the Pre-Three Kingdoms period is not small. This is because there are not many ancient poems. Looking at the number of works, the works of 20 artists, including Lee Kyu-bo, Lee Je-hyun and Choi Chi-won, account for more than half. The title marking method of other works show a trend that has changed from Korean translation to its original language (Chinese characters) or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However, the titles in type of long-sentence are often written in Korean translation. The quotation and technical method of the original poem are similar. In books similar to the nature of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in the 1980s, the original Chinese characters are described in modern history, and in later books, the original Chinese characters are the main technology method. The proportion of quotations in poetry in books focusing on classical scholarship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literary history described in a syntactic style. This study will be continued by conducting a quantitative analysis of other literary genres and authors in the future. Basing on these results,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of analyzing method and conclusion in research of literary history between Korean and Chinese scholars shall be comprehensively assessed in detai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