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라온 이야기 쓰기 지도 (Teaching Autobiographical Writ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3.11
29P 미리보기
자라온 이야기 쓰기 지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7권 / 2호 / 41 ~ 69페이지
    · 저자명 : 구자행

    초록

    아이들과 글쓰기를 하는 것은 아이들 삶을 가꾸어 주기 위함이다. 삶을 가꾼다는 말은 바른 마음, 사람다운 마음을 지니게 해 주는 일이다. 글쓰기는 아이들에게 이런 마음을 지니게 하는 과정이고, 아이들 글은 이 마음에서 나온 열매와도 같다.
    아이들에게 서사문 쓰기를 지도할 때는 ‘허구적 서사’보다는 ‘경험적 서사’를 쓰게 하는 것이 좋다. 본 대로, 들은 대로, 행한 대로 쓰는 정직한 글쓰기는 아이들이 제 삶의 주인으로 바로 서게 해 준다.
    좋은 서사문이 갖추어야 요건으로 ‘때와 곳을 또렷하게 밝혀 쓴 글’, ‘주고받은 말을 살려 쓴 글’, ‘마음속으로 한 말이나 속마음을 담아 쓴 글’, ‘사건이 눈앞에 펼쳐지듯이 쓴 글’, ‘그림을 그리듯이 자세하게 쓴 글’, 이렇게 다섯 가지를 들 수 있다. 글쓰기에 앞서 이런 요건을 갖춘 좋은 보기글을 읽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글쓰기 단계에서는 ‘글감 찾는 일’, ‘이야기 뼈대 세우는 일’, ‘진술 방식’을 제대로 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글을 쓰는 힘은 쓰고 싶은 마음이 얼마나 절실한가에 달렸기에, ‘어떻게 쓸 것인가?’ 하는 방법보다 ‘무엇을 쓸 것인가?’ 하는 글감 지도에 더 마음 써야 한다. 그리고 글을 쓸 때 이야기 뼈대를 세워서 얼거리를 짜 보게 하는 것은 꼭 필요한 과정이다. 또 하나, 글을 쓸 때 진술 방식에 마음 써야 한다. 서사문은 기본 진술이 과거형인데 사이사이 현재형이 섞이기도 한다. 어느 때, 어느 곳에서 벌어진 일을 쓰지 못하고, 날마다 있는 일을 쓰면 설명문이 되고 만다. 설명문의 진술은 현재형이다.
    글을 쓰고 나서 할 일은 ‘글평 쓰기’와 ‘이야기 나누기’ 두 가지다. 글에 담긴 아이들의 진실을 읽어 줄 때 아이들과 소통이 이루어지고, 이것이 글을 쓰게 하는 힘이 되기도 한다. 글을 쓰는 과정에서 얻는 것도 있지만, 쓴 글을 함께 나누는 과정에서 얻는 것 또한 크다. 옆 친구들 삶에 비추어 내 삶을 살피면서 아이들 마음이 조금씩 자란다. 자라온 이야기 쓰기는 아이들 마음을 자라게 하는 좋은 공부다.

    영어초록

    Teaching students how to write is teaching how to nourish their lives to the fullest. Living a full life means living with a fair and decent mind. When you teach someone writing, you cultivate his or her mind, and the works of writing are the sweet fruits you harvest.
    When it comes to teaching how to write a descriptive essay, you can help students to describe a personal experience rather than a fictional story. The writer should focus on what he see, hear and do when he starts to write and this experience helps him to take ownership for his own life.
    A good descriptive essay should reveal clearly when and where, convey a full conversation between characters, tell the readers how the characters feel, make them feel like they are present in the scene, and give a lot of details of an event. It’s important to provide students with examples of a good descriptive essay before they start writing.
    In the phase of during-writing, you have to help students to find the topic, develop the outline of the essay, and decide how to describe the event. How one writes is generally affected by how eagerly he wants to write, so you have to put choosing the right topic ahead of ways of describing the topic when you guide them to write. Furthermore, you should let them plan the focus of each paragraph and create an outline that put all the details into a logical sequence. In addition, you had better keep reminding the students about the writing conventions. Writing conventions include orthography, punc- tuation, grammar, and paragraphing. Most descriptive essays will be written in the past tense. Though, you may find several sentences in the present tense. If the writer depicts not a specific incident that happened in his life but a more general idea, the work of art he is engaged in falls into the category of the expository writing, which includes the past tense mostly.
    In the phase of post-writing, there are two things to do: writing a review and sharing the experience. Once you recognize the authenticity and the sincerity in one’s writing, you can get to know and interact with him or her more. This will encourage the person to write again. Students can get the most benefits from sharing their work with others as well as from writing process itself. They can grow up and be mature when sharing their own lives with friends. In conclusion, teaching how to write a descriptive essay can help make students’ lives more meaningful and ric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말교육현장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