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 쌀의 양곡표시사항 정보전달 개선을 위한 방향 설정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Establishment for Improvement of Grain Labeling of the Korean Rice)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9.09
15P 미리보기
우리 쌀의 양곡표시사항 정보전달 개선을 위한 방향 설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18권 / 3호 / 43 ~ 57페이지
    · 저자명 : 양호승, 이은실

    초록

    연구배경: 쌀은 자급률 86.1%인 곡물로서(한겨레, 2015) 우리나라 농촌경제의 주요 원천이다. 우리 국민이 식량으로 섭취하는 곡류 중 쌀이 차지하는 비중은 64% 이상으로 우리 민족의 주 생활에너지원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유로 정부는 소비자 알권리 보장과 우리 쌀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양곡표시사항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양곡표시사항 인지도 설문조사결과 양곡표시사항을 보지 않는다는 소비자가 많게 나타나는 등 양곡표시사항은 소비자의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소비자들은 양곡표시사항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우며,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를 전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여 쌀에 대한 정보전달 기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현행 양곡표시사항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양곡관리법 양곡표시사항의 내용을 파악하였고 이것이 시판되고 있는 쌀 포장지에는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현행 양곡표시사항은 첫째, 제품마다 제각각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둘째, 소비자가 쉽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정보전달 체계가 부족하고, 셋째, 관리자 관점의 정보 중심이라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곡표시사항의 정보를 중요도에 따라 중요정보, 일반정보, 임의표시가 가능한 정보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정보는 Davis(1989)의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 이론을 토대로 양곡표시사항의 정보전달이 쉽고 편리하다고 지각하는 정도의 지각된 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과 양곡표시사항의 정보전달이 효율적이며 도움이 된다는 정도의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으로 분류하여 소비자가 쉽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지각된 용이성은 인식의 용이성과 이해의 용이성으로, 지각된 유용성은 운용의 유용성과 견고성으로 세분화하여 양곡표시사항의 정보전달 개선을 위한 정보표시 항목의 각각의 세부기준과 디자인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쌀의 양곡표시사항의 정보를 소비자관점으로 개선하여 알기 쉽고 유용하게 전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 있다. 이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쌀에 대한 긍정적 사고와 올바른 쌀 소비문화 조성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Rice comprises more than 64% of all grains consumed by Koreans as food. In Korea, self-sufficiency rate of rice has reached 86.1%(Hankyoreh, 2015) also as main energy source for nationwide. Thus, that Korean government enforce the grain information for improve grain qualities and to provide right informations for consumers. However over 54.5% of grain consumers does not read the grain information label according to survey. Which means present grain information label requires perceived ease of use.
    Methodology: Through the market research current grain labeling provides information primarily from the perspective of managers, rather than the one desired by consumers, and is not supported by adequate information conveyance system ensuring easy and correct understanding. To resolve such a problem, grain labeling were classified into important information, general information, and arbitrary information. The information, classified into those categories,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erceived ease of use, i.e., the extent of efficiency and usefulness of grain labeling, based on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ory of Davis(1989), so that the information could be understood with greater ease and precision by consumers. Based on that, the criteria for grain labeling were presented.
    Results: The perceived ease of use was divided into perceivable and understandable methods. The perceived usefulness was divided further into operable and robust methods. Based on that, we presented specific criteria and basic course for develope designs for each item of labeling information which would be necessary for improvement in the conveyance of grain labeling.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ay foundation for conveyance of grain labeling information to ensure easy understanding and usefulness by compiling the grain labeling information required by consumers. Through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help lay groundwork for positive awareness of consumers towards rice and form a desirable rice culture so as to promote an increase in domestic rice consump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