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종교건축물의 전용轉用과 활용活用 -보천교普天敎 십일전十一殿에서 조계사 대웅전으로- (Conversion and Utilization among Religious Constructio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Focusing on the Change from Bocheongyo Sibiljeon Hall to Jogyesa Daeungjeon Hall-)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4.12
30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종교건축물의 전용轉用과 활용活用 -보천교普天敎 십일전十一殿에서 조계사 대웅전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고궁박물관
    · 수록지 정보 : 고궁문화 / 17호 / 139 ~ 168페이지
    · 저자명 : 김윤희

    초록

    조계종 대웅전은 화려한 조각을 장식한 창호가 특징적이다. 이 전각은 1938년 조선불교계에서 통합종단을 설립하면서 지은 총본산總本山의 대웅전으로써 정읍 소재의 신종교 보천교普天敎의 본전 십일전十一殿을 ‘그대로’ 옮겨 지은 것이다. 1929년 준공한 십일전은 건립 당시 ‘궁궐 같은 화려하고 굉장한 건물’로 칭송받았으며, 불교계에서 1937년 매입하여 대웅전으로 삼았을 때에도 창호 장식은 불교 의장으로써 수용되었다.
    신종교 보천교는 성전을 창건하면서 궁궐 장식화의 소재와 사찰 장엄 방식을 참고하여 새로운 종교 의장을 완성하였다. 궁중 화조영모화 병풍을 재현하듯, 전각 4면에 나무로 조각한 화조와 영모장식을 창호에 부착하였다. 양식적인 측면에서는 국내에 유통된 일본 유명 화가들의 화조도 판화의 영향이 엿보인다. 보천교의 십일전은 궁궐과 사찰건축 의장을 토대로 완성되었기 때문에 총본산의 대웅전으로 전용될 때 거부감이 적었으며, 오히려 해방 이후 불전 창호 장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One of the great features of Jogyesa Temple’s Daeungjeon Hall is its splendid carved windows. Daeungjeon Hall was built in 1938 when Joseon’s Buddhist community established an integrated sect. However, its origin was actually the Sibiljeon Hall of the sanctuary of a newly emerging religion, Bocheongyo, which was located in Jeongeup. This indicates that the wooden structures of Sibiljeon Hall were literally moved and used to build Daeungjeon Hall. Completed in 1929, Sibiljeon Hall was complimented as a “spectacular and magnificent construction akin to a palace” at the time, and even when the Buddhist community purchased it in 1937 and remodeled it into Daeungjeon Hall, the decorations were accepted without any backlash as a Buddhist design.
    Bocheongyo, as a new religion, created a new religious design for its sacred hall by referring to the subjects of the decorative paintings of royal palaces and the methods of decorating temples. Seemingly in an effort to reproduce the royal style of flower, bird and animal painting used to decorate a folding screen, wood-carved flower-bird and animal decorations were attached to the windows on all four sides of the pavilion. In terms of style, this shows the influence of a famous Japanese painter’s woodblock prints, which were introduced into Korea. Because the Bocheongyo Sibiljeon Hall was completed based on the styles of decoration used in palaces and temples, there was less resistance when they were dedicated to the Daeungjeon Hall of the Buddhist headquarters, and they even influenced the majesty of the Buddhist temple windows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in 194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