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엄십현의사기>에 인용된 신라화엄문헌의 사상사적 의의 (The Doctrin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Silla Texts Quoted in the Kegonjugengi-shiki (華嚴十玄義私記, A Personal Commentary on the Ten Profound Meanings of the Huayan Sutra))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0.06
23P 미리보기
&lt;화엄십현의사기&gt;에 인용된 신라화엄문헌의 사상사적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리뷰 / 7호 / 129 ~ 151페이지
    · 저자명 : 김천학

    초록

    The tenth century A. D. in the Heian period of Japan is particularly called the age of personal commentaries (私記 shiki in Japanese), in which many writings appear in the name or form of personal commentary from various Buddhist sects, including the Hotso-shu (法相宗).
    Among those works, the Kegonjugengi-shiki (華嚴十玄義私記) quotes some phrases from ① the Kojo-mondo (香象問答), a kind of transcript of Uisang (義湘)’s lectures, and ② the Sinlagi (新羅記) and the Qeongu-gi (靑丘記), respectively a commentary of Zhiyan (智儼)’s Kongmuzhang (孔目章). The doctrinal importance of these quotations can be found in their being the first quotations of the texts belonging to Uisang tradition ascertained within the texts of the Kegon-shu of Japan. In addition, the Kegonjugengi-shiki is the one extant text evidencing the first quotation of Uisang’s Beopgyedo (法界圖). Thus, the Kegonjugengi-shiki is important both in its doctrinal and philological contexts. According to its analysis, it shows familiarity with the texts of Uisang tradition in Silla dynasty, attempting doctrinally to identify Fazang (法藏) and Uisang, which enables us to infer that Gyeondeung (見登), a scholar monk of Silla dynasty, might be found to be responsible for its composition.
    Besides, the Kegonjugengi-shiki quotes various texts of Chinese Huayan thought that have not been reported to exist in the form of manuscript in the Nara period, including the Huayanyichengshixuanmen (華嚴一乘十玄 門) and the Fajieguanmen (法界觀門) attributed both to Dushun (杜順) and the Fajieyihaibaiwen (法界義海百問) and the Huayanzhang (華嚴章) attributed both to Fazang (法藏). We should give further attention to the circulation of these texts in order to analyze historically the various doctrinal trends in the manuscript of the Kegonjugengi-shiki.

    영어초록

    The tenth century A. D. in the Heian period of Japan is particularly called the age of personal commentaries (私記 shiki in Japanese), in which many writings appear in the name or form of personal commentary from various Buddhist sects, including the Hotso-shu (法相宗).
    Among those works, the Kegonjugengi-shiki (華嚴十玄義私記) quotes some phrases from ① the Kojo-mondo (香象問答), a kind of transcript of Uisang (義湘)’s lectures, and ② the Sinlagi (新羅記) and the Qeongu-gi (靑丘記), respectively a commentary of Zhiyan (智儼)’s Kongmuzhang (孔目章). The doctrinal importance of these quotations can be found in their being the first quotations of the texts belonging to Uisang tradition ascertained within the texts of the Kegon-shu of Japan. In addition, the Kegonjugengi-shiki is the one extant text evidencing the first quotation of Uisang’s Beopgyedo (法界圖). Thus, the Kegonjugengi-shiki is important both in its doctrinal and philological contexts. According to its analysis, it shows familiarity with the texts of Uisang tradition in Silla dynasty, attempting doctrinally to identify Fazang (法藏) and Uisang, which enables us to infer that Gyeondeung (見登), a scholar monk of Silla dynasty, might be found to be responsible for its composition.
    Besides, the Kegonjugengi-shiki quotes various texts of Chinese Huayan thought that have not been reported to exist in the form of manuscript in the Nara period, including the Huayanyichengshixuanmen (華嚴一乘十玄 門) and the Fajieguanmen (法界觀門) attributed both to Dushun (杜順) and the Fajieyihaibaiwen (法界義海百問) and the Huayanzhang (華嚴章) attributed both to Fazang (法藏). We should give further attention to the circulation of these texts in order to analyze historically the various doctrinal trends in the manuscript of the Kegonjugengi-shik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