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십장생문 백자 연구 (A Study on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on White Porcela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7.09
28P 미리보기
조선후기 십장생문 백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95권 / 295호 / 83 ~ 110페이지
    · 저자명 : 최경화

    초록

    조선후기 백자에는 대표적인 장수의 소재라고 할 수 있는 십장생이 백자의 문양으로 빈번히 사용되었다. 이는 양란 이후 사회 체제가 붕괴된 상황에서 현실적 고통을 잊기 위해 도교가 크게 유행한 때문으로, 많은 양의 십장생도가 그려지는 가운데 백자에서도 활발히 문양화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도상은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중국을 비롯하여 일본에서도 볼 수 있어 동아시아 3국이 공유하고 있음을 알수 있으며, 도상이 미술품에 표현된 것도 오래다. 십장생 도상의 연원은 중국 미술의 仙境의 표현에서 살펴볼 수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이러한 도상을 십장생이라고 부르지 않았다. 다만 仙界를 표현한 미술품의 명칭에 ‘仙山’이나 삼신산의 하나인 방장산을 의미하는 ‘仙壺’ 등의 용어를 사용하였다. 일본의 경우도 미술품에仙境을 표현하였지만 이 역시 명칭에 십장생이라는 용어 대신 신선들의 거처인 봉래산을 의미하는 ‘蓬萊’ 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결국 다수의 장생물에 ‘十數’의 의미를 부여하여 만든 십장생은 3국중 한국에서만볼 수 있는 특수성이다.
    십장생의 10개 소재에 대한 기록은 고려 말부터 보이나 사람마다 언급하는 소재가 달라 실제 문헌에서는 日·雲·水·石·松·竹·芝·龜·鶴·鹿·月·山 등 소재가 12개에 이른다. 여기에 조선후기 문헌에서 金‘ (쇠)’ 가 하나 더 추가되어 현재 기록의 십장생 소재는 총 13개이다. 비록 金‘ (쇠)’은 미술품에는 표현되지 않은 기록상의 소재이나 당시 사람들이 장수로 인식하였던 십장생 소재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러나 유물에서는 기록에서 언급한 十數가 지켜지지 않아 소재 시문에 유연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십장생문 백자의 크기와 사용된 소재의 수는 일정 정도 상관성을 보이며, 특정 소재간의 조합관계 또한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문양은 구름·학·소나무·영지·사슴 등의 시문 빈도가 높은데, 이것은 기록에등장하는 항상적 소재와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십장생 문양에 사용된 장식기법은 매우 다양한데, 이는 십장생문의 애호로 인해 많은 양이 제작되면서 장식기법 또한 다양하게 구사되었던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십장생 문양은 소재와 구성은 물론 표현방식, 색감, 회화에 나타난 습합현상까지도 당시 민화와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보이며 백자 기면 위에 전개되었다.

    영어초록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which are the most common symbolic images of longevity, were frequently employed as decorative patterns on white porcelain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is because Taoism became increasingly popular after the two wars, when the social system of the Joseon completely collapsed and commoners tried to find a way to escape from the difficulties of their lives through this religious belief.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became an especially popular subject matter in artistic productions, of which white porcelains were a kind.
    This set of iconic images was not just used in Korea, but also in China and Japan, long before the Joseon Dynasty. It originated in depictions of fairylands in China, where the images were not called “ten symbols of longevity” but named “mountains of immortals,” or “pots of immortals” which referred to one of the three divine mountains Mountain Bangjang.
    In Japan, images of fairylands in artistic productions were termed “Hōrai,” referring to the dwelling of immortals Mountain Bong-lae, instead of “ten symbols of longevity.” Thus, it is unique that a set of items related to longevity was selected to make ten symbols of longevity in Korea, imparting an important meaning to the number ten.
    Textual records of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started as early as the late Goryeo period in Korea. However, the items included in the ten symbols varied, so that around twelve subject matters are identified as components of the ten symbols, that is, sun, cloud, water, rock, pine trees, bamboo, lingzhi mushroom, turtles, cranes, deer, moon, and mountains. In addition, iron was recorded as one of the ten symbols in the late Joseon period, making the subject matters of the ten symbols as many as thirteen. Though an artifact with an image of iron as one of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has not been found, it is still meaningful to know that iron was part of the ten symbols.
    When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were applied to white porcelains, not the entire ten images but only part of the them were actually depicted, showing flexibility in the application of the subject matters. Generally speaking, the bigger the object was, the more the number of images depicted on it. Cloud, crane, pine trees, lingzhi mushrooms, and deer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images among the thirteen, which corresponds the frequency of their appearance in textual records as components of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Some of the ten symbols were often employed as a set on white porcelains. The decorative techniques utilized for applying the ten symbols display considerable diversity, as a large number of objects were produced with these images. The relation between folk paintings and depictions of the ten symbols on white porcelain is notable, especially in their subject matters, spatial expressions, and the replacement of the subject cranes with magp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3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