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寒洲 李震相의 『直字心訣』에 보인 直思想의 理學的 특색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Lixue of Jik-Thought Seen in Hanju Lee Jin-sang’s 『Jikjasimgyul』)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5.08
30P 미리보기
寒洲 李震相의 『直字心訣』에 보인 直思想의 理學的 특색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문화연구 / 21권 / 45 ~ 74페이지
    · 저자명 : 이형성

    초록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은 19세기 영남 성주에서 학술활동을 전개하여 조선 6대가 또는 근대 3대가로 일컬어지고 있다. 그는 리(理)와 기(氣)의 개념을 통해 심(心)을 성(性)⋅정(情)과 연관시키면서 인간의 내면을 철학적으로 탐구하였다.
    그는 심성론을 치밀하게 탐구하는데 먼저 심과 연관된 ‘직(直)’을 경전과 선현들의 논의에서 모아 34세 『직자심결(直字心訣)』을 완성하여 수양의 근간으로 삼았다. 경전과 선현들의 논의에서 모은 자료를 분류하여 총 41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이진상은 심의 ‘직’과 ‘경(敬)’⋅‘의(義)’를 연관시켰는바, 먼저 ‘경’을 통해 심의 내직성(內直性)을 확립하고 ‘의’를 통해 심의 외직성을 지향하였다. 특히 ‘직(直)’에는 내적 직심(直心)과 외적 직도(直道)로 분류하였는데, 직심은 내면에 사사로움이 없는 상태이고 직도는 사사로움이 없는 직심이 밖으로 그대로 표출된 것이다. 그는 이러한 ‘경’⋅‘의’과 ‘직’의 유기적 관계를 통해 사욕(邪欲)을 제거하고 천리가 분명하도록 하는 수양 공부를 전개하였다. 그 직심이 직도로 표출하도록 하는 방법은 학(學)을 좋아하고 예(禮)를 밝혀 중도(中道)에 나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경’⋅‘의’⋅‘예’⋅‘학’의 유기적 연관을 통하여 직도가 확립되는 것이다.
    ‘직’에 대한 수양은 ‘예’에 의한 ‘경’을 보존하여 직심을 확립하고 ‘의’에 의한 시비판단을 할 적에 직도로 처리하는 것이다. ‘직’에 의한 심의 수양은 궁극적으로 내외일치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외일치는 이진상이 주장한 ‘심의 주재성’과 ‘리의 주재성’으로 발전하는 계기를 주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fundamental thought of Chosun Period can be said to be Neo-Confucianism. Many Confucianism in the Chosun Period made research into Neo-Confucianism and formulated their own philosophical theories.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Superintendence Character of Neo-Confucianism raised by Lee Jin-sang(李震相:1818∼1886) of the 19th century, who was called one of the six Confucian Philosophers in the Chosun Dynasty. He systematized his philosophy as taking a serious view Li and coincided Li in the Theory of Liki(理氣) and Sim in the Theory of Simsung(心性).
    Lee, Jin-sang studies Neo-Confucianism on close examination and also of Jik of Sim. In sacred books and discussions of previous scholars, he collects only letters of Jik which can become a secret of Sim and published the 『Jikjasimgyul(直字心訣)』. The phrases quoted on sacred books are 『The Shoo-king』, 『The Book of Odes』, 『The Book of Changes』, 『The Book of Odes』, 『The Analects of Confucius』, 『The Doctrine of the Mean』, 『The Great Learning』, 『The Works of Mencius』 and 『The Book of Proptiety』. The discussions of previous scholars are of Ju Don-yi(周敦頤), Jung Ja(程子), Jang Jae(張載), So Ong(邵雍) and Ju Hui(朱熹).
    He wished to solidify the superintendence of Sim as Kyung(敬), Eui(義) and Jik(直). If as Kyumg, self-interest in Sim is removed ane Chenli(天理) is cleared. The corresponding superintendence of Kyung and Sim will control body going to sensuous self-interest and make the original nature be wholly revealed.
    When Sim is coincided with Li through Kyung, it is straighted. Jik(直), Straight, classifies into two groups-Jiksim(直心) of the inside and Jikdo(直道) of the outside. Jiksim is not personal felling in the inside. Jikdo is that Jiksim without personal felling is revealed to the outside. Jiksim revealed to Jikdo is that it makes progress into the moderation as studiousness and Ye(禮). This will make person exist in the real world. Lee, Jin-sang’s superintend-Cultivation of Sim is that Kyung controls Gaekyong revealed from Hyungche, body does not lose sensuous self-interest, and the original nature makes be wholly revealed through Jik.
    The cultivate one’s min of Jik establishes Jiksim as maintaining Kyung by Ye, and processes daily happenings by Jikdo as judging right and wrong on Eui. Ultimately such a thing is that we will grope a agreement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That shall just give one opportunity of expanding over the superintendence of Sim and Li which Lee Jin-sang insisted. We can surely say that his Cultivation-Method of Sim in Neo-Confucianism is evaluated high in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