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斗室 沈象奎 시문학의 한 국면 - 東坡 숭상과 작품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 (An Aspect of the Poetry of Doosil Shim Sang-kyu :Focused on the Adoration of Dōngpō and the Acceptance Pattern of his Poetr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1.06
38P 미리보기
斗室 沈象奎 시문학의 한 국면 - 東坡 숭상과 작품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87호 / 343 ~ 380페이지
    · 저자명 : 장진엽

    초록

    斗室 沈象奎(1766~1838)는 18세기 말~19세기 전반 경화세족의 문화를 대표하는 인물 중의 한 명이다. 본고는 심상규의 『斗室存稿』 수록 시문을 대상으로 그의 작품세계의 한 국면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의 문학을 이해하는 여러 키워드 가운데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東坡, 즉 蘇軾에 대한 애호이다.
    『두실존고』에 수록된 동파 次韻․拈韻 詩는 모두 22題 36首이다. 대체로 다른 문인들과 주고받은 시들이거나 詩會에서 지은 것들로서, 그의 동파 애호가 당시의 문화적 풍토와 무관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그 외 동파와 관련 있는 작품들은 19편으로 확인된다. 본문에서는 먼저 심상규의 동파 숭상이 나타난 작품을 살펴보고, 이어서 동파 작품을 활용한 시문 창작의 예를 검토하였다. 심상규는 중국 문인들의 동파 숭상에 공감하는 시를 지었으며, 翁樹崐과의 교유에서도 그러한 마음을 표출하였다. 만년에는 동파의 삶과 자신의 삶을 대비하여 동파에 대한 동일시를 보이기도 하였다. 유배된 처지에서 동파와의 동일시 근거를 발견했던 申欽이나 金正喜와 달리 심상규는 시련 속에서 ‘不朽’를 획득한 동파의 삶을 동경하고 있음이 주목된다. 이는 19세기 경화세족의 동파 이해를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이다. 작품 수용 양상은 동파 시의 意境과 정서를 차용하는 방식, 그리고 동파의 시구와 일화를 典故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전자의 경우 소식과 蘇轍의 우애를 시적 정서로 활용한 사례, 차운시에서 동파 시의 의경을 빌려온 예가 있다. 후자는 동파 관련 전고의 활용을 통해 작품의 의미에 깊이를 더하고 시의를 효과적으로 표현한 경우이다. 옛 시인의 시구를 전거로 활용하는 것은 일반적인 한시의 작법이지만, 심상규 문학에서는 그 주된 원천이 동파 작품에 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본고의 논의는 19세기의 주요 작가인 심상규 문학의 한 특징을 보여주는 동시에 이 시기 경화세족의 문화적 경향을 보다 심도 있게 고찰하게 해준다는 의의가 있다. 그가 가까이 교유했던 申緯, 金祖淳, 南公轍 등이 모두 동파 애호를 보여주는 인물들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한편 본고의 분석은 심상규와 마찬가지로 동파의 시구와 일화를 작품 창작에 활용했던 趙熙龍 등 다른 작가와의 비교를 통해 더욱 구체화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Doosil (斗室) Shim Sang-kyu (沈象奎) was one of the leading figures in the culture of the noble classes of Hanyang (京華世族) in the late 18th and early 19th centur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one aspect of his world of pieces, targeting the poetry of Shim Sang-kyu's Doosil’s Collection (斗室存稿). Among the many keywords that understand his literature,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is his love of Dōngpō, or Sū shì (蘇軾).
    A total of 36 poems containing 22 themes included in Doosil’s Collection are the poems with borrowed rhymes from Dōngpō’s poems. Most of them are poems exchanged with other writers or written in meetings with friends, which show that his adoration of Dōngpō was not independent of the cultural climate at the time. Besides these, 19 other pieces related to Dōngpō are identified in Doosil’s Collection. In this paper, I first examined the pieces in which Shim Sang-kyu's veneration toward Dōngpō appears, and then I examined examples of creation of poems using the Dōngpō pieces. Shim Sang-kyu wrote poems that sympathized with the veneration toward Dōngpō by Chinese writers, and he expressed such feelings in his fellowship with Weng Shukun (翁樹崐). In his later years, he equated his life to that of Dōngpō after comparing both of their lives. Unlike Shin Heom (申欽) and Kim Jung-hee (金正喜), who found grounds for equating themselves with Dōngpō in exile, Shim Sang-kyu paid attention to the life of Dōngpō, who had won an eternal honor in the ordeal. This is a notable example of the understanding of Dōngpō by the noble classes of Hanyang in the 19th century. The aspect of accepting Dōngpō‘s pieces is represented by borrowing the poetic conceptions and feelings of Dōngpō and by using his phrases and anecdotes in poems as precedents and ancient events (典故). In the former case, there are examples of using brotherly love with Sū Zhé (蘇轍) to express poetic feeling and borrowing poetic images from Dōngpō in his poems with borrowed rhymes. The latter is the case in which the use of precedents and ancient events related to Dōngpō added depth to the meaning of pieces and effectively expresses the author’s poetic meanings. The use of the old poet’s phrases in poems as precedents and ancient events was a common method of creating poems, but it is particular characteristic of Shim Sang-kyu’s literature that the main source is Dōngpō’s pieces.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a characteristic of Shim Sang-kyu’s literature, a major writer of the 19th century, while also giving a deeper look at the cultural trends of the noble classes of Hanyang during this period. This is especially true in that Shin Wi (申緯), Kim Cho-soon (金祖淳), Nam Gong-cheol (南公轍), etc., with whom he was close, were all figures who showed affection for Dōngpō. Meanwhile, the analysis of this paper needs to be more concrete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 writers such as Cho Hee-ryong (趙熙龍), who used Dōngpō's phrases in poems and anecdotes to create his pieces, just like Shim Sang-ky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