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동 참여디자인 활동의 미술교육론적 분석 ‒ 서울 K초등학교 화장실개선 사례를 바탕으로 (Art Educational Analysis of Children’s Participatory Design Activities -Focused on K. Elementary School Restroom Remodeling Casein Seoul)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0.12
18P 미리보기
아동 참여디자인 활동의 미술교육론적 분석 ‒ 서울 K초등학교 화장실개선 사례를 바탕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19권 / 4호 / 93 ~ 110페이지
    · 저자명 : 백지원

    초록

    연구배경 : 학령기 아동의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형식교육과 생활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비형식교육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비형식교육은 존 듀이의 경험 중심적 교육론과 맥락을 같이하여, 경험을 통하여 학습하게 되는 교육이며 누네스 등(Nunes et al., 1985)은 비형식교육의 학습효과에 대하여 실험조사한 바가 있다. 교육 방법에 따라 학습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2014년부터 서울시 주관으로 진행되어온 ‘꾸미고 꿈꾸는 화장실 사업’중, 2018년 4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되었던 서울 K초등학교 참여디자인 사례의 아동 참여디자인 활동의 미술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여 차후 참여디자인 활동에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첫 번째,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선행연구와 교육부 고시 미술교과에서의 교육과정 내용과 활동을 조사한 후, 두 번째, 참여디자인을 통한 학교화장실 개선사업 사례의 아동 참여활동 과정에 포함된 미술 활동을 정리하였다. 세 번째, 이론적 고찰을 도식화하여 분석의 틀과 체크리스트를 도출하고, 참여디자인 사례의 참여활동을 대입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아동 참여디자인 활동을 교육내용과 교육역량의 관점으로 분석한 결과, 참여활동은 제한된 재료와 방식으로 입체적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평면적 활동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고, 활동 전반의 과정에서 교육내용에서는‘이해’핵심개념에서 ‘감상’의 영역에, 교육역량 부분에서는 ‘미술문화 이해능력’의 ‘우리문화 이해를 통한 정체성 확립’을 제외한 전반적 성취기준과 모든 능력에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환산 평균점은 자기주도적 미술학습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시각적 소통능력은 참여디자인 전반적 활동에 연관성이 있거나 높다고 말할 수 있다.
    결론 : 참여활동은 교육역량의 다양한 능력과 연관된 교육내용으로 미술교육적 활동을 진행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교실에서 교과서로 진행하는 형식교육과는 다른 방법을 지니고 있지만 비형식교육으로서 형식교육에서 추구하는 교육목표 달성에 역할을 할 수 있는 교육적 활동임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참여디자인을 통한 공간 개선 시, 사용자들의 만족도가 증진됨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참여활동으로 미술 교육적 학습효과도 이룰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참여디자인 과정에서 참여자들의 참여활동 만족도와 학습효과 평가는 후속연구에서 조사되어야 할 과제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 Education that affects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school-age children can be divided into formal education conducted at school and informal training conducted in the field of life. Informal education is education that children will learn through experience. Nunes et al.(1985) have conducted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learning effects of informal education.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fact that the learning effect can be display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method, in this study, the art educational effect of the design activity of the participation of children is taken as a participatory design case of Seoul K. Elementary School. And then try to suggest directions that can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of participatory design activities.
    Methods : In this study, first, theoretical consideration was investigated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the curriculum in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art subject notifi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econd, the case of participatory design was summarized the art activities included in the process of children's participating activities in school restroom remodeling projects. Third, I derived an analysis framework and checklist from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analyzed the participating activities of participatory design case.
    Result : Participation activities are conducted in limited materials and methods in three-dimensional activities, but two-dimensional activities are mainly conducted. In the educational content part, the part excluding the "appreciation" area of ​​the important concept of "understanding" is relevant. In terms of educational abilities, it was related to all abilities except "establishment of cultural identity”. The converted average score shows the highest self-directed art learning ability, and it can be said that the visual communication ability is relevant or highly related to the activities of the entire design of participation.
    Conclusion : Participating activities promoted art education activities in educa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various abilities of educational ability. Participatory design confirmed that it is an educational activity that can play a role in the educational goals pursued in formal education as informal education.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the evaluation of learning effects are issues that should be investigated in subsequent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