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영랑 시에 나타난 ‘마음실’의 이미지와 서정성의 문제 (The Themes of the Image of “Heart-Thread” and the Lyricism in Kim Yeong-rang's Poetr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1.04
30P 미리보기
김영랑 시에 나타난 ‘마음실’의 이미지와 서정성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춘원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춘원연구학보 / 20호 / 205 ~ 234페이지
    · 저자명 : 강민호

    초록

    김영랑의 시는 초기에 철저히 내면적인 순수서정시의 전형을 띠다가 중후기를 거치면서 점차 현실참여적 경향으로 나아간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김영랑 시편에 자주 등장하는 시어 ‘마음’은 적지 않은 주목을 받아 왔으나, 김영랑이 ‘마음’을 이완과 긴장 운동을 반복하는 실[絲]의 이미지로 조형하고 있다는 점은 충분히 지적되지 않았다.
    김영랑의 초기 시편은 ‘유선화(流線化)의 상상력’이라 명명할 만한 ‘마음실’ 이미지의 유동성을 전반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끗업는 강물이 흐르네」나 「가늘한 내음」 등의 작품에서 ‘마음실’은 항상 느슨하게 흐르는 상태에 있으면서 부드럽고 유려한 분위기를 환기한다. 그러나 ‘마음실’ 이미지가 배경화되어 있을 때가 아니라 「四行小曲-‘뵈지도 안는 입김의 가는 실마리’」, 「연 1」 등과 같이 시의 전면으로 대두될 때는 위태롭고 연약한 실오라기의 상태로서 서정 주체에게 불안을 촉발하는 대상이 되기도 한다. 즉 ‘마음실’ 이미지는 자아와 세계의 내면적 합일이라는 전형적인 순수서정에서 탈피하여, 서정 주체의 관할에서 벗어나는 ‘정동(精動)’적 움직임을 보인다.
    비교적 양가적이었던 초기와 달리 중기 시편에서는 느슨한 흐름이 완전히 소거된 채 위태롭고 불안한 ‘마음실’에 대한 서정 주체의 애착만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러나 「거문고」, 「가야금」, 「독을 차고」 등의 작품에서 그러한 불안은 ‘마음실’ 이미지의 움직임을 포착해서가 아니라 정동의 부재로 인한 직접적인 화자의 감정으로만 표현된다. 「연 2」 등 후기 작품에서는 ‘겨레, 나라, 죽음’ 등 현실 인식을 과도하게 노출하는 시어들이 출몰하면서 ‘마음실’의 긴장과 그에 대한 불안으로부터 완전히 멀어진다. 흔히 초기 시편의 한계로 지적되었던 내면에의 침잠은 오히려 격정적인 감정 토로로 점철된 이 시기의 시편에서 나타난다.
    이처럼 ‘마음실’ 이미지의 불온한 유동성과 그에 대한 시적 주체의 태도 변화는 김영랑이 박열·박용철·정지용·서정주 등과 교류했던 개인사를 통해 그 근거가 명확해진다. 우선 김영랑은 ‘박열이냐 박용철이냐’의 기로에서 박용철을 선택하게 되면서 문인의 길을 걷게 된다. ‘마음실’의 긴장을 잘 유지하던 초기 시편이 이때 창작되었다. 이후 박용철의 죽음과 그에 대한 추모 과정에서 일어난 정지용과의 은밀한 경쟁은 긴장의 부재를 안타까워하는 중기 시편 창작과 병행되었던 일이었다. 김영랑은 후배 서정주와 교류하면서 박용철의 빈자리를 대신하려 했으나, 끝내 초기 시편 특유의 긴장을 목격하는 서정 주체로 회귀하지는 못한다.

    영어초록

    Kim Yeong-Rang's poetry is considered to have been thoroughly typical of pure lyrical poetry in the early period, and then gradually progressed toward a poetry of participation as they passed through the mid-late perio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oetic word “heart”, which often appears in Kim Yeong-rang's poetry,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but it was not sufficiently pointed out that Kim Yeong-rang is sculpting the “heart” as an image of a thread repeating relaxation and tension movements.
    Kim Yeong-Rang's early period works generally reveal the fluidity of the image of the “heart-thread” that can be termed as the “Imagination of Fluid-Thread”. In works such as The River Flows Endlessly and Thin Scent, the “heart-thread” always flows loosely and evokes a soft and fluid atmosphere. However, not when the image of “heart-thread” is in the background, but when it emerges as the front of the poem, such as The thin thread of breathing without seeing or The Kite Ⅰ, it is in a state of precarious and fragile thread. It is also a target that triggers anxiety for the lyrical subject. In other words, the “heart-thread” image shows a “affective” movement that breaks away from the typical pure lyric of the inner unity of the self and the world, and escapes from the jurisdiction of the lyrical subject.
    Unlike in the early period, which were relatively ambivalent, in the mid-term poetry, the loose flow was completely eliminated and only the lyricist's attachment to the precarious and unstable “heart-thread” began to appear. However, in works such as Geomungo, Gayageum, and Being Poisonous, such anxiety is expressed only as a direct narrator's emotion due to the absence of affection, not because of capturing the movement of the image of the “heart-thread”. In later works such as The Kite Ⅱ, poetic words that over-expose awareness of reality such as “the Korean people, country, and death” appear, completely disengaging from the tension and anxiety of the “heart-thread”. Often pointed out as a limitation of the early period, the immersion in the inner world appears in the works of this period, which is filled with passionate emotion.
    As such, the unwarranted fluidity of the image of the “heart-thread” and the change in the attitude of the poetic subject toward it become clear through the personal history of Kim Yeong-rang's interactions with Park Yeol, Park Yong-cheol, Jeong Ji-yong, and Seo Jeong-ju. First of all, Kim Young-rang selected Park Yong-cheol from the crossroads of “Park Yeol or Park Yong-cheol” and walked the path of a writer. Early period works were created at this time, which kept the tension in the “heart-thread” well. Afterwards, Park Yong-cheol's death and the secret competition between Jeong Ji-yong, which took place in the process of commemorating him, paralleled the creation of the mid-term poetry, regretting the absence of tension. Kim Yeong-rang tried to replace Park Yong-cheol's vacancy while interacting with Seo Jeong-ju, but he could not return to the lyrical subject who witnessed the tension of the early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춘원연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