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시조에 나타난 신체어 연구-우탁, 정몽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ody Language in Gosijo-Wootak, centered on Jung Mong-ju-)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1.03
24P 미리보기
고시조에 나타난 신체어 연구-우탁, 정몽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61호 / 79 ~ 102페이지
    · 저자명 : 이재희

    초록

    본고는 시조 형성기의 우탁과 정몽주의 작품에서 신체어 몸과 백발을 통하여 우탁의 몸에 대한 성찰과 몸으로 표현된 정몽주의 정치적 철학을 살펴보았다. 살펴본 작품은 고려 말기 시조 발생설과 관련하여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되는 우탁의 「탄로가」와 충절의 표상인 정몽주의 「단심가」이다.
    먼저 동․서양의 신체미학 이론을 제시하고 몸의 개념을 정리했다. 이를 바탕으로 작품에 나타난 몸과 백발이 전통의 동양사상인 심신일원론과 맥을 같이 하고 있음을 밝히고, 신체어가 현대적으로 수용된 미학을 살펴보았다.
    성리학은 고려 말기에 들어와 조선의 통치 이념이 되었다. 고려 왕조와 조선 초기의 성리학적 관점에 근거한 몸의 철학은 시조 형성기에 우탁과 정몽주에 의해서 표출되었다. 역동의 몸에 대한 성찰은 혼란스러운 고려 말엽 상황을 자신의 백발에 빗대어 나타냈다. 포은 또한 살신성인의 자세로 스러져 가는 고려 왕조를 자신의 몸과 함께 지키는 정치적 철학을 보여주었다. 포은은 현실의 육신과 내세의 넋을 바쳐 끝까지 고려를 지키는 충신불사이군(忠臣不事二君)을 지켰다. 이처럼 우탁과 정몽주의 시조는 동양의 전통사상인 심신일원론에 기저하여 작가 의식이 신체어를 통하여 잘 나타났다.
    우탁의 「탄로가」와 정몽주의 「단심가」에 드러난 신체어는 ‘온몸’으로 표현된 군주를 향한 충절과 신의이다. 서양의 몸과 정신이 이원화된 신체론과 달리 동양은 심신일원론으로, 우리 몸에 대한 인식은 시조 형성기부터 발현되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렇게 우리 시가에 나타난 ‘몸’의 대한 인식은 유학 사상을 수용한 우리 시조 형성기부터 등장하면서 현대에 이르러 ‘몸’에 대한 미학의 단초를 제공한 사실 또한 매우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This book examined the political philosophy of Jeong Mong-ju, which was expressed through reflection on Utak's body through body language, body, and gray hair, in the works of Utak and Jeong Mong-ju during the formation of the Sijo. Wu Tak's "Tanroga," which is considered to have significant literary significance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the birth of the founder of the late Goryeo Dynasty, and Jeong Mong-ju's "Dansimga," a symbol of loyalty.
    First, he presented the body aesthetics theory of the East and the West and organized the body's Based on this, it was revealed that the body and gray hair in the work are in line with the traditional oriental ideology of mind and body, and that the aesthetics of the modern acceptance of body language were examined.
    Neo-Confucianism entered the late Goryeo Dynasty and became the ruling ideology of Joseon. The body's philosophy based on the Neo-Confucian perspectives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expressed by Wu Tak and Jeong Mong-ju during the formation of the Sijo dynasty. The reflection on the body of Yeokdong compared the chaotic late Goryeo situation to his gray hair. Poe also demonstrated his political philosophy of keeping the Goryeo Dynasty, which was falling into the position of a slaughtered saint, with his own body. Poeun protected the loyalist Bulsaigun, who protected Goryeo until the end by sacrificing the body of reality and the spirit of the afterlife. As such, Wu Tak and Jeong Mong-ju's poems were based on the principle of mind and body, which is a traditional Eastern idea, and the consciousness of writers was well expressed through physical language.
    The body language revealed in Wu Tak's "Tanroga" and Jeong Mong-ju's "Dansimga" is loyalty and faithfulness to the monarch, expressed as "all body." Unlike the dualized body theory of the Western body and mind, it is meaningful that the East was expressed as a one-pronged theory of mind and body, and the perception of our body was expressed from the time of the formation of the sijo. The perception of the "body" in our poetry has also been very meaningful since the formation of our sijo, which accepted the idea of studying abroad, and provided clues to aesthetics about "body" in modern t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