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새만금 계화 신간척지에서 토양 염농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Spatio-tempor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Soil Salinity in Saemangeum Gyehwa Newly Reclaimed Land)

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16.03
5P 미리보기
새만금 계화 신간척지에서 토양 염농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 28권 / 1호 / 113 ~ 117페이지
    · 저자명 : 김영주, 류진희, 이수환, 오양열, 김선, 정진, 홍하철, 김영두, 김선림

    초록

    본 연구는 신간척지 토양에 대한 염류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새만금 계화도 신간척지 1,150 ha를 200 m 단위의 격자로 구분하여 토양 조사지점을 선정하여 시료를 채취하여 토양 성분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이용하여 새만금간척지의 염류농도의 공간변이성 및 분포도를 분석하였다. 새만금 간척지 계화지구의 2015년의 평균 토양 염농도는 2008 년에 비해서는 32% 수준이었고, 2014년과 비교하면 70% 수준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자연제염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었다. 또한, 염농도가 0.3% 이하를 나타낸 조사면적은 2008년과2015년에 각각 11%(113 ha), 79%(912 ha)로 경시적으로 염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새만금 계화지구의토양 염농도는 담수호와의 근접 거리에 의한 영향보다는 과거에 갯골이었던 지형에서 염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특성은 토양의 물리적 특성에도 영향을 끼쳤으며, 향후 간척지를 농업용지로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과거 지리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농업용지 구획을 설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새만금 계화 신간척지에서 염농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결과는 향후 새만금 내부 개발이 시행되었을 때 신간척지를 농지로 활용하고자 할 때 농업활동이 가능한 지역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작부체계를 신속히 설정하여 원활한영농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Soil salinity at newly reclaimed land in west coast of Korea is highly variable and depending on soil characteristics and weather condi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changes on soil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xchangeable sodium percentage in Saemangeum newly reclaimed land. Experimental sites was selected at Gyehwa (35o75'N, 126o60'E)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and their dominant soil series was Munpo (coarseloamy, mixed, non-acid, mesic, typic Fluvaquents). Soil samples were periodically collected at 0 ~ 20 cm and 20 ~ 40 cm layer from each site. Soil electrical conductivity had a wide range from 0.15 to 41.76 dS/m, which was variable according to the weather conditions. The average soil electrical conductivity from March 2014 to 2015 was 6.4 and 3.4 dS/m at Gyehwa in Seamangeum reclaimed land. Calcium concentration in soil solu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il electrical conductivity and soluble sodium. Soluble sodium concentration had great variations and it was the most influencing single factor for temporal variations of soil electrical conductivity regardless of soil textural properties. The characteristics of Saemangeum reclaimed land had different shares of saline and sodic propertie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Our results indicate that persistent monitoring and modeling on soil salinity at coastal tide land is fundamental and the results can provide some useful information for deciding management plans for diverse utilization or to reduce salt damage for stable crop production at reclaimed tidal l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