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몽유도원도>의 심미(審美)와 창신(創新)에 관한 도교 미학적 고찰 (A Study on the Aesthetic Ideas of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16.05
38P 미리보기
&lt;몽유도원도&gt;의 심미(審美)와 창신(創新)에 관한 도교 미학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학예술학연구 / 47권 / 215 ~ 252페이지
    · 저자명 : 권현희

    초록

    본 논문은 조선 초기 안견의 <몽유도원도>에 내재된 유가, 도가의 심미(審美)의식의 창신(暢神)에 의해 구도의 재창조와 동시에 무한 초월된 우주공간을 재현하여 공간개념에서 양식창신(創新)한 도가 미학적 관점을 고찰한다. <몽유도원도>는 도가 미학적 관점의 허와 무의 관념수용에 의해 유가의 삼원 관념의 해체와 탈피, 그리고 장자미학의 소요유에 의한 무한 초월된 우주공간의 확대에 의해 구도와 공간개념에서 양식 창신된 것이다. 현실과 이상세계, 도원입구, 도원의 네 무더기의 경물들은 흩어져 마치 분리된 듯, 서로 시각적 조화와 이동 시점의 변화를 이루어 대각선 또는 사선구도와 한국적 심미특색이 있는 넓고 시원하게 확대된 공간개념을 강조한다. 이것은 <몽유도원도>가 장자의 심미 관념인 허정과 자연무위정신, 그리고 심재와 좌망을 통해 유의 자유로운 정신과 정신수양을 추구하였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이것은 또한 도가 미학적 요소인 허와 실과 유와 무의 대비, 그리고 무한과 무궁개념이 구도와 공간개념의 재창조에도 결정적으로 기여한 것이라는 사실 역시 표출한 것이다.
    본 연구는 <몽유도원도>가 도가의 이상과 유가의 현실이라는 대립적인 자연관을 배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호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 그리고 특히 도가적 무의 심미의식은 구도 뿐 아니라 공간개념의 확대에도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을 고찰한다. <몽유도원도>는 도가적 심미 관점의 수용결과로서 첫째, 장자 미학의 핵심인 허정과 도의 산수 관념을 함축한다. 유가미학의 도덕적 규범으로서의 자연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가의 규범에서 벗어난 도가적 도의 체득과 정신수양이 강조된 것이다. 둘째, 노장의 은일과 와유사상, 특히 무위자연의 심미의식을 내포한다. 셋째, 장자미학의 심재와 좌망을 통한 유의 자유정신과 소요유의 정신적 자유의 심미의식과 무궁한 공간관념을 드러낸다. 이러한 요소들은 <몽유도원도>가 도가 미학적 요소의 커다란 영향 하에 완성된 작품이라는 사실의 예시가 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esthetics based on the ideas of ‘ri’, ‘do’ and ‘eui’, which originated from the philosophies of Confucianism, Taoism, Buddhism and the Zen sect, influenced ‘jeonsin’ and ‘euigyeong’ aesthetics found in <Mongyu Dowondo> painted by Ahn Gyeon in the early Joseon period, and artistic backgrounds behind which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formed. <Mongyu Dowondo> ha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jeonsin’ and ‘euigyeong’, respectively based on the idea of ‘ri’ from the circles of yuantihua in the North Song period and that of ‘eui’ from the circles of literary painting. In other words, the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 shows an aesthetic fusion of the ideas of ‘ri’ and ‘do’ from Confucianism, Taoism, Buddhism and the Zen sect. The Confucian idea of ‘ri’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vision of nature that oriented unity between heaven, earth, nature and man. In the North Song Period, the vision of the universe or universal ontology from neo-Confucianism and the artistic spirit of ‘ri’ fused with each other, forming the aesthetics of ‘jeonsin’. The aesthetics of the Zen-sect, or that of ‘sim’ often implied in literary painting greatly contributed to the aesthetic spirit of ‘saeui’.
    This study first clarifies the Confucian visions of nature and the universe both of which made the biggest contribution to the aesthetics of <Mongyu Dowondo>. Next, the study consider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universal ontology from neo-Confucianism of the North Song period, Taoistic vision of nature in the South Song period and artistic spirits reflected in a later variation of that ontology.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s ‘saeui’ aesthetics based on Kwak Hee's ideas of ‘won’ and ‘ri’, which were the key to aesthetics dominant in the North Song period, and ‘saeui’ aesthetics of literary painting, to which the Zen sect of the Win period contributed.
    This study conducts a few analyses in the following. Noting that Confucian aesthetics created ethical ontology and the visions of nature and the universe, all of which were based on the idea of unity between heaven, earth, nature and man, and that universal ontology from neo-Confucianism since the period of North Song influenced the idea of enormous space, suggested by the Geobi school of the same period, and then landscape painting, above all, the study analyzes the visions of nature and the universe from Confucianism and neo-Confucianism. By the way, the vision of the universe was changed by the period of South Song when neo-Confucianism of North Song gave way to Taoistic aesthetics whose vision of nature and spirit of art, both of which were based on the idea of the above mentioned unity, removed the idea of enormous space.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s Taoism-based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art spirits since contrasts between truth and falsehood and between existence and nonexistence, found in the vision of the universe, had lots of effects on the creation of paintings. Fin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jeonsin’ and ‘saeui’ since <Mongyu Dowondo> has aspects of ‘euigyeong’ aesthetics, associated with the aesthetic sense of ‘won’ as the key to North Song’s art theory-based aesthetics and has aspects of ‘saeui’ aesthetics in which the idea of ‘eui’ from the theory of literary painting, influenced by the Zen sect-based aesthetics of the Win period, refle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