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세기 전반 천도교 지도자의 서양 인식과 신문명의 비전 (The Recognition about Western and the Vision of New Civilization of Cheondogyo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0.05
28P 미리보기
20세기 전반 천도교 지도자의 서양 인식과 신문명의 비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철학 / 36호 / 245 ~ 272페이지
    · 저자명 : 김용휘

    초록

    본고는 동학에서 천도교 시대로의 개편이 서구의 근대와 문명개화를 지향하고 있다는 기존의 견해에 의문을 제기하며, ‘개벽’의 관점에서 손병희와 천도교 청년지도자들이 추구했던 지향을 새롭게 분석하고 있다.
    손병희는 일반적으로 평가되듯이 일방적으로 서구적 근대를 추구하거나 문명개화를 일방적으로 추구한 것이 아니다. 서양을 시대적 대세로 인정했지만, 서양문명 자체를 따라야할 표준으로 보지는 않았다. 그는 수운이 다시 밝힌 도와 덕을 중심으로 서양의 문물을 잘 활용함으로써 정신과 물질이 어우러진 도덕문명, 도의적 신문명을 꿈꾼 것이었다.
    이돈화와 김기전이 중심이 된 천도교 신파의 청년지도자들 역시 그들이 지향한 것은 단순한 계몽이나 개조가 아니라 애초부터 『개벽』 잡지의 이름에서 표명했듯이 ‘개벽’이었다. 그들의 운동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를 넘어서고, 민족과 계급을 넘어서서 보편적 인간해방이라는 근본적인 문명의 전환을 꿈꾼 개벽운동이었다.
    한편 해방공간에서 천도교청우당이 내놓은 ‘한국적 신민주주의’의 새로운 정치이념 역시 천도교 청년들이 1920년 이래 꾸준히 고민해 온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를 넘어서고자 한 제3의 길에 대한 모색이자, 신국가건설의 방향이었으며, 3.1독립선언서에 밝힌 ‘도의적 신문명’의 비전을 실현하고자 하는 열망의 표현에 다름 아니었다.
    결론적으로는 일제강점기 천도교 지도자들이 추구했던 것은 서양에 대한 맹목적인 수용도 저항도 아닌, 수운이 깨달아 밝힌 동학의 새로운 도덕에 바탕해 서양을 선별적으로 수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동서융합의 신문명을 추구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begins with a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of the existing evaluation that the transition from Donghak to Cheondogyo is aimed at the modernization and civilization of the Wes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orientation pursued by Son Byeong-hee and Cheondogyo youth leaders from the perspective of “Gaebyeok”.
    Son Byung-hee is not unilaterally seeking Western modernity or unilaterally civilization as it is generally evaluated. Although Western was acknowledged as a major trend in the times, it was not regarded as a standard to follow Western civilization itself. He dreamed of a new civilization in Cheondo(Tao, universal law) and a civilization in harmony with spirit and material by making good use of Western civilizations centered on the Tao and the virtue revealed by Suun.
    The young leaders of Cheondogyo 'Shinpa', led by Lee Don-hwa and Kim Ki-jeon, were also aiming for “Kaebyeok” as expressed in the name of the “Gaebyeok” magazine from the beginning. Their movement was a gaebyeok movement that dreamed of transforming the fundamental civilization of universal human liberation beyond capitalism and socialism and beyond nationality and class.
    On the other hand, the new political ideology of “Korean New Democracy” from “Cheondogyo-Chungwoodang” in the liberation space was also a search for a third way that the leaders of Cheondogyo have been struggling with over capitalism and socialism since 1920. In addition, it was the direction of the construction of a new nation, and it was nothing more than an expression of the desire to realize the vision of the “new moral civilization” in the 3.1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n conclusion, what Cheondogyo leaders of the Japanese imperialism pursued was not blind acceptance or resistance to the West, but selective acceptance of the West by reinterpreting the 'Donghak' revealed by Suun in the era. Thus, what they pursued is the new civilization of the East-West Convergence, which can be seen as still inheriting the vision of the 'gaebyeok' of Suu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