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石上神宮 소장 七支刀의 신해석에 대한 추가 쟁점 연구 (A Study on the Additional Issues related to the New Research of the Seven-Branched Sword (Chiljido) in the Isonokami Shrin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3.08
22P 미리보기
石上神宮 소장 七支刀의 신해석에 대한 추가 쟁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연구 / 78호 / 127 ~ 148페이지
    · 저자명 : 홍성화

    초록

    본고에서는 일본의 奈良縣 天理市 石上神宮에 소장되어 있는 七支刀에 대해 기존 통설과 달리 腆支王 4년(408년)에 제작되었다는 신해석 이후 논의되었던 쟁점에 대해 추가적으로 고찰해보았다.
    우선 七支刀의 판독에 있어서 기존에 ‘泰’로 보았던 첫 글자는 하부에 보이는 3개의 횡획을 통해 ‘奉’의 이체자로 확인이 된다. 따라서 연호의 부분은 ‘奉□’으로써 4~6세기 당시 중국에는 ‘奉’으로 시작되는 연호가 없기 때문에 백제 연호일 가능성이 높아졌다.
    또한 기존에 ‘五月’로 보던 七支刀의 제작월의 경우도 X-선 촬영과 확대 근접 사진의 판독을 통해 ‘十一月’로 판단할 수 있게 되었으며 중국의 紀年鏡의 사례를 검토한 결과, 七支刀에 쓰인 ‘十一月十六日丙午’의 경우 丙午의 길상구설이 타당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11월 16일이 丙午의 干支에 해당하는 연도를 찾아 이들 연도 중에 백제왕의 재위 연수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면 腆支王 4년(408년)이 된다.
    한편 408년의 冬至는 景初曆에 의하면 11월 20일이고 현대의 천문 계산으로는 11월 17일이지만, 元嘉曆에 의하면 11월 16일 丙午에 해당한다. 이러한 사실은 445년 이전에 백제가 元嘉曆과 유사한 역법을 사용하여 七支刀 제작일로 삼았다고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당시의 역법이 오늘날의 천문 계산과는 오차가 있을 수 있지만 백제가 元嘉曆 이전에 七支刀를 408년의 11월 16일 丙午에 제작하였다는 것은 당시 백제가 자체 역법에 따라 冬至에 맞춰 제작하였다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따라서‘奉□四年十一月十六日丙午’의 명문은 七支刀가 腆支王 4년인 408년 11월 16일 冬至에 제작되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즉, 백제가 자체 연호를 써서 왜국에 주었으며 왜왕에게 侯王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점, 하행문서 형식의 ‘傳示後世’가 쓰인 점 등을 고려하면 백제 하사설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on the additional issues related to the new research that the Seven-Branched Sword (Chiljido) of the Isonokami Shrine was produced in the 4th year of King Junji (408 A.D.).
    First of all, in the reading of the Seven-Branched Sword (Chiljido), the first letter previously seen as 'Tae(泰)' could be identified as the another letter of 'Bong(奉)' through the three horizontal strokes shown at the bottom.
    Therefore, as the part of era name is 'Bong□ (奉□)', during the 4th and 6th centuries there is no era name that starts with "Bong (奉)" in China, so the possibility of it being the era name of Baekje has increased.
    In addition, the production month of the Seven-Branched Sword (Chiljido), which was previously viewed as 'May', could be judged as 'November' through X-ray photography and reading of enlarged close-up photo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ase of mirrors in China, it was confirmed that the "November 16th Byeong-o" carved in the Seven-Branched Sword (Chiljido) was not used as a a lucky phrase.
    Therefore, if you find the year corresponding to the Byeong-o on November 16 and confirm that it is consistent with the reign of King Baekje during these years, it will be the 4th year of King Jeonji (408 A.D.).
    Meanwhile, on November 16th Byeong-o in 408 A.D., corresponds to winter solstice in terms of calendar of Wonga, so it is believed that Baekje used a calendar similar to calendar of Wonga before 445 when calendar of Wonga was used.
    Therefore, the letters of 'the 4th year of Bong□ (奉□) on November 16th Byeongo' indicate that the Seven-Branched Sword (Chiljido) was produced on November 16, 408 A.D., the 4th year of King Junji's reign, on the date of winter solstice.
    In other words, considering that Baekje used its own era name and gave it to Japan and that the form handed down to one's subordinates was used, it is confirmed that Baekje granted the Seven-Branched Sword (Chiljido) to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