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념의 신자유주의화 - 사회이론에서의 자본개념 확장비판 (Neo-liberalization of Coecepts: A Critique of the Conceptual Eextension of Capital)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08.01
23P 미리보기
개념의 신자유주의화 - 사회이론에서의 자본개념 확장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민주사회정책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 13호 / 253 ~ 275페이지
    · 저자명 : 김종엽

    초록

    신자유주의적 이론이 헤게모니를 가지기 위해서는 사회적인 것 전반을 경제적인 것으로 재서술하고, 비판적 사회이론의 기초 개념을 침식하며, 자신의 이론과 개념을 학문적 어휘와 상식 속에 각인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개념의 신자유주의화라고 할 만한 이런 작업이 성공적일 경우 비판적 의도를 가진 사회이론가조차 보수적인 개념을 학문적 상식의 형태로 수용하게 된다. 이 논문은 이런 개념의 신자유주의적 변형을 최근 사회이론에서 발견하게 되는 자본 개념의 인상적인 확장 속에서 확인하고 그것이 가진 문제점을 비판하고자 하였다.
    자본의 개념적 확장에 중요한 일보를 내디딘 것은 게리 벡커의 인적 자본 개념이다. 이 개념은 노동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개념인데, 그는 그것에 자본 개념을 결부시켰다. 이런 개념 구도는 노동의 숙련과 학습을 인적 자본의 투자로, 노동자를 스스로에 대해 투자하는 기업가로 재서술하게 된다. 노동이 범주적으로 부인되는 것이다.
    인적 자본에 뒤이어 등장한 사회자본 개념은 인간의 사회적 관계 전반을 자본으로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사회자본은 그것의 소재지가 개인 행위자인지 아니면 집합적 실체인지에 따라 다르게 개념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모호한 개념이다. 이런 모호성으로 인해 오히려 논쟁을 유발하고 다양한 사회현상의 분석에 적용되며 확산되었다. 그리고 더불어 비판적 사회이론의 핵심 개념인 연대 개념이 포괄하던 이론적 대상을 흡수함으로써 연대 개념을 침식하였다.
    문화자본은 부르디외가 제기한 개념이며, 그의 이론적 의도는 매우 비판적인 것이다. 하지만 문화자본에 대한 부르디외의 경험적 연구가 가진 폭로적이고 비판적 의도에도 불구하고 그의 이론은 비판적 사회이론의 규범적 토대를 약화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정통화된 문화에 대한 비판이 문화 일반에 대한 상대주의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비판적인 사회이론의 발전을 위해서는 이런 자본 개념의 확장 속에서 약화된 노동, 연대, 비판의 규범적 토대를 더욱 공고하게 하고 이론과 경험적 연구를 통해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영어초록

    The neoliberal social theories have to achieve some tasks in order to obtain an academic hegemony. For example, they should be able to redescribe the social as the economic, erode the fundamental concepts of critical social theories and inscribe their own concepts into academic vocabularies and common sense. If these tasks are achieved, it happens that social theorists unwittingly use neoliberal concepts in spite of critical intents.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and criticize the neoliberal transformation of concepts in the impressive conceptual extension of capital.
    The most important moment of conceptual extension of capital is the concept of human capital of G. Becker. He intended to analyze the concrete qualities of labor and the effects of educations on labor wages. In his provocative analysis, he introduced the concept of human capital and that resulted in the replacements of labor by human ‘capital.’ This rewriting leads us to think skilling and learning of laborers as a kind of capital investment to the human beings. In this conception, we cannot but consider laborers as enterprisers investing their own capital to themselves. Together with it, the concept of labor is categorically denied.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following human capital was an attempt to capitalize the whole areas of concrete social relationships. In fact, social capital is a very ambiguous concept; for it may be differently conceptualized according to whether its subject is individuals or collectivities. But its ambiguity has induced the debates on its denotation and connotation and helped itself mobilized for analyzing the various social phenomena. And its diffusion has weakened the theoretical status of solidarity which is still one of the key concepts of critical social theories.
    Cultural capital is the concept invented by P. Bourdieu and the motif of his invention was very critical. Despite his intent, his concept of cultural capital has an effect of eclipsing the normative foundation of social theories, for his critique of legitimatized cultures unintentionally makes the culture as a whole entrapped into the relativism. For the rejuvenation and development of critical social theories,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labor, solidarity and the normative foundation of critique and apply them to the experiential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주사회와 정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