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자유주의 시대의 혐오발화와 미학적 은유의 응수(應酬) (Utterance of Disgust in Neo-liberalism and Response through Aesthetic Metaphor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6.03
42P 미리보기
신자유주의 시대의 혐오발화와 미학적 은유의 응수(應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청람어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청람어문교육 / 57호 / 213 ~ 254페이지
    · 저자명 : 나병철

    초록

    이 논문에서는 신자유주의 시대의 혐오발화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미학적 은유를 통해 고찰했다. 혐오발화는 오늘날 처음 나타난 것이 아니며 과거의 인종주의와 이데올로기 담론에서도 특징적으로 출현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먼저 과거 냉전시대의 이데올로기적 혐오담론과 오늘날의 신자유주의 시대의 혐오발화의 차이를 살펴보면서 지금의 혐오발화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 이데올로기적 혐오담론은 국가 권력에 의해 실행된 반면 오늘날의 혐오담론은 사회구성원 각자에 의해 수행된다. 그 때문에 과거의 혐오담론이 공고했던 것과는 달리 오늘날의 혐오발화는 모든 사람에게 침윤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오늘날의 혐오발화는 사회구성원 자신이 비슷한 계층을 공격하는 형식이므로 보다 더 문제적이고 절망적이다. 그러나 그 절망과 우울은 감성적인 틈새를 말해주는 것으로 그 틈새에 미학적 은유가 침투할 때 혐오발화가 극복될 수 있을 것이다. 혐오발화는 오염의 심리와 연관이 있으며 혐오대상과 공유하는 자신의 취약점을 지우기 위해 상상적 동일성에 의탁하는 환상적 형식이다. 그처럼 혐오발화는 상상적 동일성에 의존해 동일성의 체계에 동화될 수 없는 사람들을 비천한 존재로 공격한다. 반면에 미학적 은유는 혐오의 대상인 비천한 신체가 생명적 존재임을 드러내면서 그를 비천한 것으로 배제하는 상상적 동일성에 상처를 낸다. 그 때문에 혐오발화가 지배 권력의 상상적 동일성을 지키는 형식인 반면 미학적 은유는 다양한 권력장치의 상상적 동일성을 해체한다. 우리는 김이설의 『환영』과 『선화』를 통해 어떻게 혐오발화가 미학적 은유에 의해 해체되고 있는지 살펴봤다. 『환영』에서 윤영은 섹슈얼리티의 상품세계에서 혐오의 대상이 되는 생리하는 신체가 오히려 자신의 생명성의 회복임을 발견하고 혐오에서 벗어난다. 또한 『선화』에서 선화는 혐오가 사랑과 분노의 양가성에 의해 극복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두 소설은 혐오발화가 상품세계 같은 상상적 동일성을 지키는 형식이라면 미학적 은유는 비천한 것의 존재론을 통해 상상적 동일성을 해체하는 방식임을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nature of utterance of disgust in neo-liberalisml society and contemplates a way to overcome the violence of such utterance through aesthetic metaphors used in Iseol Kim’s literary works. Disgust assault is nothing new and, in fact, was central to racism and ideological discourses in the past.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the ideological utterance of disgust from the Cold War era to the contemporary disgust assault in this neoliberal era, while looking for a resolution of the violence.
    The ideological utterances of disgust were carried out by the government authority but the current ones are done at the individual level. The disgust violence now, therefore, is not as pervasive as the utterance of disgust in the past. However, the current utterance of disgust may be more problematic and desperate as it promotes voluntary attacks on social members by other members of the society.
    Despair caused by utterance of disgust is emotional and such emotional state may be resolved by the application of aesthetic metaphors. Disgust may be explained by the psychology of contamination as one creates an imaginary identity in order to become clear of what is shared with the disgusted who is then attacked because s/he cannot relate to that identity. Aesthetic metaphors may play a critical role here as they break up the imaginary identity by treating the disgust targets with respect and love. This claim is well illustrated in two novels “Seonhwa” and “Hwanyeong” by Iseol Kim. First, Yoonyeong in “Hwanyeong” finds her menstruating body disgustful in the world of sexual objectification but she soon finds a way to free herself from disgusting after she realizes that her body is the restoration of her existence. Meanwhile, in “Seonhwa”, Seonhwa shows a way in which disgust can be overcome through the ambivalence of love and anger. These two novels tell us that disgust depends upon the imaginary identity while the aesthetic metaphors shatter that identity through existentialism of the disgu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