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 ‘후반기’동인과 『신시학』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ry Coterie 'Hu-ban-gi' and 『Sinsihak』)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9.08
25P 미리보기
1950년대 ‘후반기’동인과 『신시학』의 연관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3권 / 3호 / 103 ~ 127페이지
    · 저자명 : 우남희

    초록

    본 연구는 1950년대 말에 발간된 시문학지 『신시학』을 대상으로 1950년대 초에 결성된 ‘후반기’동인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신시학』은 ‘후반기’ 동인이었던 김경린과 김차영, 박태진이 함께 만든 시문학지이다. 그들은 1959년에 신시학연구회를 결성하고 시문학지 『신시학』을 출간하였으나 여러 가지 이유로 연속성을 지니지 못하고 폐간하게 됨으로써 문학사에서 잊힐 수밖에 없게 된다. 이에 본고는 그 동안 시문학사에서 배제되었던 시문학지 『신시학』을 대상으로 1950년대 모더니즘의 시초인 ‘신시론’과 ‘후반기’와의 연속성을 먼저 살펴보고 다음으로『신시학』의 특징을 크게 2가지 관점으로 나누어서 ‘후반기’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신시학』이 1959년대 모더니즘의 모체로 새로운 신인 작가를 배출하고 그들과 함께 현대시를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비롯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후반기’ 동인이 구성원을 제한 없이 받아들여 모더니즘을 에콜로 이끌어나가고자 한 뜻과 유사하였다.
    다음으로『신시학』과 ‘후반기’의 연관성을 시적 현대성의 추구와 조형성에 입각한 시적 이미지의 형상화로 구분하여 살폈다. 그 결과 첫째, 시적 현대성의 추구의 관점에서 『신시학』과 ‘후반기’의 동질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조형성에 입각한 시적 이미지의 형상화를 살펴본 결과 근대를 시작으로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후반기’ 동인이 과거의 음악성에서 벗어난 회화적인 조형성을 갖춘 시로 변모를 시도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신시학』에서도 “이중적인 융합”에 의한 감각의 다층성을 통한 입체적 조형성을 실현하려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1959년에 발간된 『신시학』지와 전후에 해체된 ‘후반기’ 동인과의 연속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40년대 말에 태동하여 50년대 말까지 지속적으로 활동해왔다는 것을『신시학』을 통해 알 수 있다. 따라서 1960년대 모더니즘 시와 시론이 본격화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신시학』의 문학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onnection of the poetic literary journal 『Sinsihak』published in the late 1950s with the literary coterie Hubangi organized in the early 1950s. 『Sinsihak』(“New Poetics”) is a poetic literary journal published by Kim Gyeong-rin, Kim Cha-yeong, and Park Tae-jin, who were members of literary coterie Hu-ban-gi (“The Second Half”). They formed a research society of new poetics in 1959, and published the poetic literary journal of Sinsihak. This journal, however, has been forgotten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s it failed to have continuity for several reasons and ceased publication.
    In this context,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transformation of the modernist movement in the 1950s by investigating Sinsihak, a poetic literary journal that has been excluded from the history of poetic literature, and then analyzes the association of the journal with Hubangi largely from two points of view.
    First, it was found that 『Sinsihak』was published for the purpose of turning out new poets and investigating modern poetry together with them, in a wish for the journal to be the matrix of progressing modernism. This is similar to the wish of the coterie Hubangi for accepting members without restriction and leading modernism as an ecole.
    Next, the association of 『Sinsihak』with Hubangi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pursuit of poetic modernity and the figuration of poetic imagery based on formativeness. As a result, first, it was possible to identify homogeneity between 『Sinsihak』and Hubangi in terms of the pursuit of poetic modernity.
    Nex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iguration of poetic imagery based on formativeness, it was found that owing to the increase of interest in visual imagery starting from the modern period, the coterie Hubangi attempted transformation into poetry equipped with pictorial formativeness, breaking away from musicality in the past. Likewise, it was found that 『Sinsihak』also attempted to realize multi-dimensional formativeness through multi-layered sensation based on “dualistic convergence.” This study confirmed continuities between 『Sinsihak』published in 1959 and the coterie Hubangi that came to an end after the war. Investigation into 『Sinsihak』shows its continued activities from the late 1940s to the late 1950s.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Sinsihak』in the history of literature can be found in that it had a pivotal role for the full-fledged modernist poetry and poetics in the 196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