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 교과서 국정화 과정에 대한 신제도주의 분석 (The Analysis of History Textbook National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ew Institutionalism)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6.12
30P 미리보기
역사 교과서 국정화 과정에 대한 신제도주의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 / 23권 / 4호 / 135 ~ 164페이지
    · 저자명 : 신은희, 장수명

    초록

    본 연구는 2015년에 확정된 역사 교과서 국정화 과정을 3단계로 구분하고 후기 역사적 신제도주의의 제도변화론을 활용하여 단계별로 행위자, 권력 및 담론을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변화 유형을 제시하고 제도적 맥락에서 정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뉴라이트 역사관을 가진 그룹은 보수적 대통령의 집권으로 국가권력을 통하여 기존 교과서 제도를 변용하여 교학사 교과서를 저술하고 채택을 권고하여 이 역사관의 제도화를 시도하였으나 다수 학교와 교사들의 채택 거부로 이 역사관의 제도 진입은‘표류’하였다. 이에 이 그룹은 국가권력을 활용하여 국정화로의 제도변화를 시도하여 교육부라는 제도운영자의 재량권을 확대하고 연구자와 교사들의 재량권과 거부 권리를 제한하는 교과서 제도로 ‘전환’하였는데 이는 한 변형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국정화는 교학사 교과서 실패라는 우발적인 계기로 촉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역사 교과서 국정화 과정을 행위자, 권력, 담론의 틀로 보면 연구자들과 교사들의 교과서 자율화 담론이 설득력을 얻고 확장되었으며 국정화그룹의 교과서 제도 담론은 보수 진영에서도 동의를 얻지 못하였다. 하지만, 뉴라이트 역사관을 가진 그룹은 국가권력을 활용하여 ‘올바른 교과서’라는 담론을 국정화로 전환시켰다. 자율화그룹은 자신들의 담론을 국정화 반대운동 과정에서 풍부하게 만들었으며, 새로운 제도설계 방안을 제안하기에 이른다. 국정화는 취약한 담론과 관련 시민들의 강한 반대와 일반 대중의 높은 비판으로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어렵다고 예상된다. 이 연구를 통해 제도 변화에 있어 담론, 관련시민사회, 시도 교육청 단위의 권력이 중요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al change of the nationalization of history textbooks(NHT) begun in 2015 from the late historical new institutionalism perspective. To do so, we divided three phase of the NHT, analyzed how the related actors, discourse and power played in the process of the NHT and explored the possible settlement of the NHT institution.
    Our analysis indicates that initially the New Right(NR) Group utilized state power and transformed the existing textbook institution to institutionalize their views of Korea history by helping the Kyohaksa history textbooks get into classrooms. However, this attempt was failed by strong veto by almost all schools and teachers. This institutionalization of NR history view(NRHV) can be classified as‘drifting’of the types institutional change. The contingency of drifting could have caus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NHT, which expanded discretion power of the institution manager(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constrained the discretion power and veto rights of the researchers and teachers. Thus, NHT can be classified as a variant of ‘conversion’ type of institutional change.
    In the process of NHT, actors, power and discourses played important roles. History researchers and teachers demand more autonomy and discretion in writing and using textbooks, which gained more popular support. However, NHT discourse could not get support even from conservative groups but NR group utilized state power to nationalize history textbooks based ‘the right text book’ discourse. Liberalization group enriched their discourses in the course of anti-nationalization movement to present new institution design for history textbook. We suspect that NHT cannot be stably institutionalized in the long term due to its weak discourse and little support from stake hold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정치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