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석기시대 유적의 공간적 분포와 군집 패턴 분석 (Spatial Distribution and Cluster Pattern Analysis of Korean Neolithic Site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4.12
24P 미리보기
신석기시대 유적의 공간적 분포와 군집 패턴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석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신석기연구 / 48호 / 1 ~ 24페이지
    · 저자명 : 임지원, 김민구

    초록

    본 연구에서는 발굴이나 지표조사를 통해 알려진 남한지역 신석기시대 유적의 공간분석을 통하여 유적의 분포 패턴과 군집을 파악하고 그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신석기시대 유적의 공간상분포가 균일하지 않고 특정 지역에 밀집되어 있다는 사실은 신석기시대 연구 초기부터 주목된 바있다. 유적의 비균일적 분포는 환경적 요인과 동시에 사회적 요인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제주도와 도서 지역을 제외한 남한지역에서 보고된 665개소의 신석기시대 유적의 분포를 퍼콜레이션(Percolation) 기법으로 군집분석한 결과, 관찰 범위상의 차이에 따라 다수의 소군집과 소수의 대군집으로 나눌 수 있었다. 하나의 대군집은 3~5개의 소군집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군집들은 시기적인 차이를 가지고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는 인구 확산에 단⋅장거리 이동이 병행되었고확산의 중핵지역이 존재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인구가 급증했던 3500 BC를 전후한 시기에는 개별 지역군들이 광범위한 사회연결망으로 통합되었을 것이며, 이런 연결망은 여러 개별 유적들이 소군집으로, 다시 여러 개의 소군집들이 대군집으로 연결되는 중첩적 구성을 가졌을 것이다. 한편 전남, 경북, 강원 영서 일부 지역에는 가시적인 지역군이 형성되지 않는데, 이들 지역은사회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신석기시대 전시기에 걸쳐 인구밀도가 매주 낮은 지역이었기 때문으로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spatial patterns and clustering of Neolithic sites in South Korea through spatial analysis of sites identified via excavations and surface surveys, while also examining their cultural significance. The uneven spatial distribution of Neolithic sites, with a tendency to cluster in specific regions, has been noted since the early stages of Neolithic research. This non-uniform distribution is likely attributable to both environmental and social factors.
    Using the percolation method to analyze the clustering of 665 Neolithic sites reported in South Korea (excluding Jeju Island and other islands), the study identified that the sites can be categorized into multiple small clusters and a few large clusters, depending on the range of observation. A single large cluster is composed of 3 to 5 small clusters. These small clusters appear to have formed at different times, suggesting that both short- and long-distance population movements occurred and that there were core areas of population diffusion.
    Around 3500 BC, when the population experienced rapid growth, individual regional groups are thought to have been integrated into extensive social networks. These networks likely had a nested structure, where individual sites formed small clusters, and multiple small clusters interconnected to form large clusters.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regional clusters were formed in parts of Jeollanam-do and Gyeongsangbuk-do, which were likely low-density areas throughout the Neolithic period due to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