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유학의 정좌법과 심신수렴의 유교치료 (Jingzuo Method and Confucian Therapy of Psychosomatic Convergence in Neo-Confucianism)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6.06
25P 미리보기
신유학의 정좌법과 심신수렴의 유교치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80호 / 51 ~ 75페이지
    · 저자명 : 신현승

    초록

    유학(특히 신유학)은 인간의 몸과 마음의 관계, 마음의 작용과 기능, 마음의 수양법 등에 대해 매우 적극적 관심을 가진 동아시아의 가장 주요한 전통 인문학이었다. 더불어 유학의 성격 그 자체는 치료적(therapeutic)이며 ‘치유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치유법으로서 정좌라고 하면 중국 송대의 신유학자들이 제시한 심신 수양방법의 하나로 마음을 고요히 가라앉히고 적연부동(寂然不動)의 태도를 가짐으로써 자신의 본성을 깨닫는 것을 가리킨다. 즉 신유학(Neo-Confucianism, 도학을 포함한 송대 이후의 유학)의 심신수렴(心身收斂) 혹은 심신 수양법으로 널리 알려진 것이 정좌(靜坐)였다. 신유학의 탄생에 기여한 북송오자(北宋五子) 가운데 이정(二程) 형제가 정좌의 중요성을 설파하였고, 신유학의 집대성자 주희(朱熹)도 정좌의 유교 수양법에 대해서는 매우 긍정적이었다. 이 정좌의 수양방법은 비단 신유학(성리학과 양명학 등)에서 뿐만 아니라, 불교나 도교에서도 좌선(坐禪)이나 양생(養生)의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수양방법은 지나치게 불교의 선학적(禪學的) 성격이 강하다는 유교계 안팎에서의 비판도 끊이지 않았다. 따라서 이 논고에서는 신유학의 정좌에 대하여 그 유교치료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다시 말해 신유학의 정좌법과 마음 그리고 몸 등에 관한 다양한 논의, 신유학의 주요한 심신 수양법인 정좌의 양상, 신유학자들의 심신수렴과 치유적 의미, 그리고 청대 고증학의 융성 이전에 명대 유학사 혹은 명대 양명학사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저명한 유학자 즙산 유종주(劉宗周)의 정좌설과 심신의 치유적 의미, 즙산 정좌설의 특징, 심신의 치유와 정좌의 관계 등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영어초록

    Confucianism (Especially, Neo-Confucianism) was the most important traditional humanities in East Asia with very active intere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body and mind, action and function of the mind, and method of cultivating the mind. In addition, the nature of Confucianism itself is therapeutic and curative. Also, Jingzuo (quiet sitting) as a therapy is one of the methods of psychosomatic moral culture proposed by Neo-Confucian scholars in the Song dynasty of China, which refers to realizing one’s own nature by calming oneself and having an attitude of ‘unmoved in absolute stillness’. In other words, Jingzuo was widely known as a method of psychosomatic convergence or psychosomatic moral culture in Neo-Confucianism (Confucianism after the Song dynasty including Daoxue). Of the Beisong-Wuzi (five great thinkers of Beisong) who contributed to the birth of Neo-Confucianism, Ercheng (the Cheng brothers) taught the importance of Jingzuo, and compiler of Neo-Confucianism, Zhu Xi, too, was very positive about the Confucian method of moral culture of Jingzuo. This method of moral culture is suggested as a method of sitting-in Zen meditation or taking care of one’s health not only in Neo-Confucianism (Zhuxiism and Yangmingism, etc.) but also in Buddhism or Taoism. Accordingly, there has been constant criticism that this method of moral culture is too Zen Buddhist in and out of the world of Confucianism. Thus, this paper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Confucian therapeutic significance of the Jingzuo method and psychosomatic convergence in Neo-Confucianism. In other words, the first part of the main discourse of this study reviewed the Jingzuo method and various discussions about mind and body in Neo-Confucianism, the aspects of the Jingzuo method, an important method of psychosomatic moral culture in Neo-Confucianism and Neo-Confucian scholars’ psychosomatic convergence and its curative significance. In addition, the second chapter discussed eminent Confucianist, Jishan Liu Zongzhou’s Jingzuo theory and meaning of psychosomatic healing, characteristics of Jishan Jingzuo theory and Liu Zongzhou’s discours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matic healing and Jingzuo, who made a finale of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the Ming dynasty the history of Yangmingism in the Ming dynasty before the prosperity of Kaozhengxue in Qing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