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몬드리안 신조형주의 작품을 응용한 텍스타일디자인 개발연구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Utilizing Techniques from Mondrian’s Neo-Plasticism)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4.12
15P 미리보기
몬드리안 신조형주의 작품을 응용한 텍스타일디자인 개발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30권 / 4호 / 49 ~ 63페이지
    · 저자명 : 국맹, 엄경희

    초록

    신조형주의(Neo-Plasticism)는 입체주의와 신지학의영향을 받아 자연을 재현하는 요소를 제거하고 순수한 추상에 도달한 미술 운동으로, 수직선과 수평선, 삼원색(빨강, 노랑, 파랑) 및 무채색(검정, 흰색, 회색) 을 기본 요소로 사용하여 기하학적 화면을 구성하는특징이 있다. 이 시기의 작품은 비대칭적이면서도 조화롭고 균형적인 구성을 보여주며, 순수한 회화 공간을 창조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1920년대 유럽과 러시아의 추상적 회화 흐름과 연결된다. 이러한 경향은 이후 독일 바우하우스, 아르데코, 옵아트 등 다양한 미술 운동에 영향을 미치며, 20세기 비재현적 미술의 발전에 기여하였고, 회화, 조각, 공예, 건축, 패션등 여러 분야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오늘날 소비자들의 미적 감각이 향상됨에 따라 독특한 텍스타일디자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자이너들은 더욱 창의적이고 예술적인디자인을 창조할 필요가 있다. 전통적인 장식 기능에서 벗어나 예술성에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발전하고있으며, 미학과 사용자 요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있다. 피트 몬드리안(Piet Mondriaan)의 신조형주의(De Stijl)는 20세기 초반 중요한 예술 운동 중 하나로,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 제한된 색상, 비대칭성으로유명하다. 이 운동은 현대 디자인에 깊은 영향을 미쳤고, 텍스타일디자인에도 풍부한 영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목적은 몬드리안 신조형주의 작픔의 특징을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텍스타일디자인을 개발하여 텍스타일디자인 시장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으며, 실용성을 유지하면서도 예술적 가치를 더해 소비자의 미적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텍스타일디자인의 다양한 리소스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을 제시함으로써 텍스타일디자인 산업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 범위는 신조형주의 이론과 기법인 기하학성, 삼원색, 무채색, 비대칭성을 선정하여 용도에 의한 어패럴용, 인테이러용, 패션악세서리용 텍스타일디자인을제시하였다. 더불어 신조형주의 예술적 측면을 이해하고, 이를 텍스타일디자인에 적용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였다. 특히 기하학성, 삼원색, 무채색, 비대칭성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텍스타일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신조형주의 표현기법을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외 관련 분야의 선행 연구 논문, 학술지, 인터넷 웹 사이트 등 다양한 간행물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용도별 텍스타일디자인을 제시하기 위해 일러스트레이션(Adobe Illustrator)과 포토샵(Adobe Photoshop)을활용하여 디자인을 표현하였다.
    몬드리안 신조형주의 작품을 응용한 용도별 텍스타일디자인 개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시켰다. 첫째, 어패럴용 텍스타일디자인은 ‘cross’를 주제로, 몬드리안 신조형주의 작품의 특징인 삼원색의수직선과 수평선을 활용하여 비대칭적으로 구성된 격자 구조를 통해 안정감과 시각적 다양성을 창출하였으며, 색상의 조화와 대비를 통해 강렬한 감정을 표현하였다. 둘째, 인테리어용 상업공간 뮤럴벽지디자인‘Bright’를 주제로, 몬드리안 신조형주의 작품의 특징인 수직 및 수평의 검은색 선을 활용하여 기하학적영역을 분할하였다, 또한 삼원색과 흑백으로 구성된선명한 색상 대비를 통해 리드미컬한 배치와 형식 언어의 독립성을 강조한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셋째, 패션악세서리용 텍스타일디자인 ‘fullness’를 주제로, 몬드리안 신조형주의 작품의 특징인 수직선과 수평선의세밀함을 강조하였며, 삼원색의 기하학적 도형을 통합하여 활력과 시각적 효과를 증대시키고, 비대칭적 구성에서 미세한 균형을 이루어 소비자들의 시선을 유도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텍스타일디자인은 패션, 인테리어, 패션액세서리 등 텍스타일 산업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 관련 영역에서도 새로운 기여를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Neo-Plasticism is an art movement that was influenced by cubism and theosophy to eliminate elements of representing nature and arrive at pure abstraction, characterized by the use of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primary colors (red, yellow, and blue), and neutral colors (black, white, and gray) as basic elements to compose geometric scenes. The works of this period have an asymmetrical but harmonious and balanced composition,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genre of European and Russian abstract painting in the 1920s. This artistic trend later influenced many art movements such as Bauhaus, decorative arts and Opu art in Germany, and promoted the development of non-figurative art in the 20th century, and had a wide impact on painting, sculpture, craft, architecture, fashion and other fields.
    With the increasing aesthetic sensibilities of today’s consumers, the demand for unique textile designs is on the rise. This has led to the need for designers to be more creative and artistic in their designs. There is a shift away from traditional decorative functions and toward an emphasis on artistry, centered on aesthetics and user needs. Piet Mondrian’s Neo-Plasticism, as one of the important art movements in the early 20th century, is famous for its simple geometric forms, limited colours and asymmetry.
    This movement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modern design and provided rich inspiration for textile desig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Piet Mondrian’s Neo- Plasticism works, and to develop creative and artistic textile designs by applying these characteristics, for I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textile design market, while maintaining practicality and adding artistic value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proposes new designs through a variety of resources of textile design to help the textile designs industry.
    The scope of there search was to present textile designs for apparel, integral, and fashion accessories by selecting the theories and techniques of Neo-Plasticism: geometry, tricolor, neutral color, and asymmetry. In addition, the students understood the artistic aspects of Neo-Plasticism and discovered creative ideas to apply it to textile design. In particular, the textile designs were presented focusing on geometry, tricolor, neutral color, and asymmetry expression techniques.
    The research method is to investigate and analyse past research papers, academic journals, Internet websites and other publications in related fields at home and abroad, and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erformance skills of Neo-Plasticism.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present textile designs for different purposes, Illustrator and Photoshop software are used to present the final design.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s for different applications using the works of Mondrian Neo-Plasticism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of all, Textile design for apparel shirts, with the theme of ‘cross’, creates a sense of stability and visual diversity through the asymmetrical grid structure composed of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of the three primary colours represented by Piet Mondrian, and expresses strong emotions through the harmony and contrast of colours. Secondly, the Textile design for interior mural wallpaper with the theme of ‘Bright’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iet Mondrian’s Neo-Plasticism works. It uses vertical and horizontal black lines to divide the geometric area, and emphasizes the rhythmic layout and formal language independence through the vivid colour contrast of the three primary colours and black and white. shoes with the theme of ‘Fullness’ emphasizes the details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in Piet Mondrian’s works, and integrates the geometric shapes of the three primary colours to increase vitality and visual effects.
    It achieves a subtle balance through asymmetrical composition and guides the eyes of consumers.
    Therefore, the textile design developed by this research is not only important in the field of fashion, interior decoration and fashion accessories textile industry, but also can make new contributions to many design-related fiel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