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산 정약용의 공자 십익(十翼)에 관한 신해석 (Jeong Yak‐yong’s New Interpretation of the Ten Wing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8.12
21P 미리보기
다산 정약용의 공자 십익(十翼)에 관한 신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태동고전연구 / 41권 / 133 ~ 153페이지
    · 저자명 : 김영우

    초록

    이 글은 공자가 쓴 십익(十翼)에 대한 다산의 평가와 해석을 통해 다산이 주목한 역학의 가치가 무엇이었는가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다산은 현존하는 십익의 저자를 공자라고 보았으나 그 구성과 내용에 대해서는 종래의 설과 다른 주장을 제시하였다.
    먼저, 십익의 구성과 관련하여 다산은 십익의 열 편 중에서 「문언전」을 제외하고 대신 「대상전」을 새롭게 포함시켰다. 또한, 본래의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이 잘못 편입되는 등 현존 십익에는 여러 문제가 있다고 진단하고 일부에 대해서만 주석을 남겼다. 실제로 십익과 관련하여 다산은 「단전」, 「소상전」, 「대상전」, 「설괘전」, 「계사전」 등에 주석을 하였고, 「서괘전」, 「잡괘전」에 대해서는 특별한 주석을 남기지 않았다. 또한 「계사전」의 경우는 모든 부분을 주석한 것이 아니라 추이 및 효변과 관련된 부분만을 별도로 발췌하여 주석하였으며, 「계사전」 내용 중 점치는 방법에 관한 부분은 「시괘전」이라는 편명으로 독립시켜 주석을 남겼다.
    「시괘전」을 비롯한 다산의 십익에 관한 주석으로부터 다산 역학사상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다산은 「시괘전」 주석을 통해 자신이 고대의 점법을 완벽히 밝혀냈다고 자부하였지만 그렇다고 그가 역(易)을 점서로 활용하고자 한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다산은 공자가 만든 「대상전」이 점술과 관계없이 군자의 도덕수양을 위해 역을 이용하도록 한 의도가 반영된 저술이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다산은 점서보다는 의리서로서의 역의 활용 가능성에 더 주목한 것이다. 그러나 다산은 공자와 같이 역학 이론을 가지고 새로운 의리를 제시하고자 하지는 않았다. 그렇게 하기보다는 『주역』과 십익에 반영되어 있는 고대 성인의 의리를 연구하고 밝히는 것이 역학 연구자로서 해야 할 목표라고 여겼다. 다산은 새로운 진리를 말하기보다는 성인이 남긴 미언대의(微言大義)를 찾아내어 밝히고, 그것을 현실에 구현하는 전통 유학자의 삶에 충실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Dasan’s thought and science of divination through Dasan’s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of Ten Wings (十翼) written by Confucius.
    Dasan considered Confucius as the author of the existing Ten Wings, but presented different arguments for its composition and contents.
    First, in relation to the composition of Ten Wings, Dasan newly included “Daesangjeon” instead of “Muneonjeon” among 10 books of Ten Wings. In addition, he diagnosed that there were many problems with the existing Ten Wings, such as the incorrect insertion of content that did not fit the original purpose, and left notes on only some of them. In fact, what Dasan annotated on Ten Wings are only part of them such as “Gyesajeon,” “Seolgwaejeon,” and “Daesangjeon.” However, “Gyesajeon” does not annotate all the parts, but only the part related to the Tuiyi(推移) and Yaobin(爻變) is extracted separately and annotated, and of the contents of “Gyesajeon”, the part about telling fortunes was created and annotated independently in a volume name of “Sigwaejeon”.
    From the annotation on Dasan’s Ten Wings, including “Sigwaejeon,” we can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Dasan thought of science of divination. Dasan, in the annotation of “Sigwaejeon,” was confident that he had completely uncovered an ancient view of fortunetelling, but he did not intend to use divination (易) as a fortunetelling guidance. Dasan recognized that “Daesangjeon” created by Confucius was a symbolic work reflecting the intention to utilize the divination for the moral cultivation of the aristocracy, regardless of science of fortunetelling. Dasan, like Confucius, paid more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using divinations as a book of justice rather than a book of fortunetelling. But Dasan, unlike Confucius, did not attempt to present a new right way with the theory of science of divination. Rather than doing so, he considered it to be a divination scientist’s goal to study and reveal the sincerity of sage reflected in the Book of Changes and the Ten Wings. In other words, rather than telling a new truth, Dasan attempts to find and illuminate Mieondaeui (微言大義) that the preceding sages left, and to be faithful to the life of a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 who would realize it in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태동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