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재홍의 신민족주의와 ‘홍익민족주의’ (AhnJaeHong’s New Nationalism and HongIk National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1.02
50P 미리보기
안재홍의 신민족주의와 ‘홍익민족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라시아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유라시아문화 / 4권 / 127 ~ 176페이지
    · 저자명 : 소대봉

    초록

    단재 신채호에 의해 개시되고 대종교와 밀접한 관련 위에서 전개된 민족주의사학은 서기전 24세기에 시작된 민족사가 단군-부여-고구려로 이어지며 만주일대에서 펼쳐졌다는 민족 정체성을 정립하였고, 항일독립투사들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민족주의사학을 계승한 안재홍은 조선 고유의 역사 유산 속에서 고래(古來)의 민주주의 원리이자 철학인 「다사리」 사상을 찾아내어 통일민족국가 건설의 사상ㆍ이념적인 토대로 삼아 「신민족주의와 신민주주의」로 정리하였다.


    안재홍이 조선 역사에서 찾은 「다사리」는 고대의 민주주의였으나 특수 계급(귀족)에게만 독점되었다. 안재홍은 그 향유 대상을 전민족ㆍ전민중에까지 확대하여 보편화하고, 부ㆍ권력ㆍ지식을 전민중이 균등하게 누리며 공영(共榮)하고, 모든 국민이 노동 균등이라는 의무를 함께 해야만 신민주주의이자 신민족주의가 된다고 보았다. 이런면에서 민족주의, 민주주의, 좌우합작 등 모든 면에서 안재홍과 다른 길을 걸은 손진태는 안재홍과 같은 ‘신민족주의자’라고 볼 수 없는 것이다.


    안재홍의 신민족주의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평가는 다양하지만 이들은 모두 안재홍이 조선 고유의 사상에서 ‘신민족주의와 신민주주의’의 바탕을 이루는 요소를 찾아냈다는 것을 공통적으로 인정할 뿐, 그 조선 고유의 사상에 대해 깊이 있게 연구한 논문은 별로 없다.


    안재홍은 조선 선민(先民) 세계관의 이치를 일ㆍ삼(一ㆍ三)사상을 자기화한 표현으로 「비」(허공)ㆍ「몬」(물질)ㆍ「씨」(종자)를 들어 설명하기도 하고, 고래의 민주주의였지만 1945년 당시에는 개념과 내용을 확장해서 이해해야 할 홍익인간사상을 「다사리」로 이름 지어 신민주주의의 핵심으로 삼기도 했고, 「신지비사」에서 연원한 조소앙의 균평흥방론을 신민족주의에 활용하기도 하였다. 「신민족주의와 신민주주의」에서 보이는 이러한 안재홍의 사상은 안재홍이 선가(仙家)였음을 입증하고 있으며 따라서 서구의 정치사상이 아니라 한국선도라는 관점에서 안재홍을 바라보아야 올바른 평가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필자는 안재홍에 대한 기왕의 ‘단군민족주의’라는 평가는, 단군민족주의의 핵심인 홍익실천사상의 조화ㆍ상생ㆍ평화라는 내용성과 환웅시대부터 시작되었다는 시기성을 함께 고려하여 새롭게 ‘홍익민족주의’로 바꾸는 것이 타당하다고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e nationalistic history started by DahnJae ShinChaeHo has been developed on the close relationship with DaeJongGyo. It set up the national identity that our history had begun in B.C. 24C as DahnGunJoSeon and succeeded to BuYeo and GoGuRyo in Manchuria area, which became ideological foundation for anti-Japan independence fighters.


    AhnJaeHong who inherited the nationalistic history found DaSaRi thought, the democratic principle and philosophy from JoSeon’s ancient unique historical heritage. And arranged it as new nationalism and new democracy, taking it as thought and ideological basis to establish the unified nation.


    DaSaRi which AhnJaeHong had found in JoSeon’s history was ancient democracy, but was monopolized by the special class(the nobility) only. He thought it(DaSaRi) should be extended and generalized to the whole nation. The wealth, power, and knowledge had to be possessed evenly to prosper together and the labor obligation should be performed equally by the whole people. He viewed these would make new democracy and new nationalism.


    Thus in this sense, SohnJinTae who walked a different way in nationalism, democracy, and collaboration of left and right cannot be regarded as a new nationalist like AhnJaeHong.


    There has been various studies and evaluations about AhnJaeHong’s new nationalism. But all of them just admit in common that he found the background factor of new nationalism and new democracy in JoSeon’s unique thought. But rare are the theses studying deeply about JoSeon’s unique thought itself.


    AhnJaeHong explained in his style the principle of JoSeon ancestors’ world view, oneㆍthree idea(一ㆍ三思想) as ‘Bi(void)’, ‘Mon(substance)’, and ‘Si(seed)’. Naming HongIkInGan idea whose concept and content had to be understood extendedly at the time of 1945 ‘DaSaRi’, he took it as the core of new democracy. He also utilized JoSoAng’s GyunPyeongHeungBangRon(均平興邦論) originated from 「ShinJiBiSa」in newnationalism. AhnJaeHong’s thought appeared in new nationalism and new democracy demonstrates that he was a SunDo master. Therefore the right evaluation of AhnJaeHong can only be possible when he is measured with Korean SunDo’s view point, not with western political ideas.


    This researcher suggests that the past evaluation of AhnJaeHong’s thought as DahnGun nationalism has to be changed into HongIk nationalism rightly, when we consider both that the core of DahnGun nationalism is the content of HongIk practical thought- harmonyㆍcoexistenceㆍpeace- and that the time it started was HwanWoong’s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라시아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