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고어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ported Fishery in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7.12
24P 미리보기
신고어업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서(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서연구 / 29권 / 4호 / 107 ~ 130페이지
    · 저자명 : 최치훈

    초록

    신고어업의 기원은 구한말의 어업법이다. 법에는 면허어업과 허가어업 이외의 어업을 하려면 군수 혹은 부윤에게 신고하여 감찰을 받도록 하고 있고, 어업을 하고자 하는 자가 일본인이면 일본이사관에게 신고하여 감찰을 받도록 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신고어업이 계출어업으로 명칭이 바뀌었다가, 1953년 수산업법을 제정할 때 다시 신고어업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신고어업은 면허어업⋅허가어업⋅한시허가어업 또는 시험어업 및 연구어업⋅교습어업 외의 어업이다. 이 어업을 하려면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1975년 법 개정이전에는 신고어업의 종류가 정해지지 않았으나, 이후 신고어업의 종류가 정해졌다. 신고어업은 어선을 사용하는 어업도 포함하고 있었으며, 1980년대에는 어업의 종류가 10개에 이르기도 하였으나 이후 감소하여 현재 나잠어업과 맨손어업 2종류이다. 이 어업은 영세하며 자유어업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조업장소는 마을어업의 어장이다.
    1990년 법 개정에 따라 허가어업과 신고어업도 어업손실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손실보상은 선박의 항행⋅정박⋅계류 또는 수저전선의 부설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폐기물 해양배출로 인하여 배출해역 바닥에서 서식하는 수산동물의 위생관리가 필요한 경우, 공익사업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해당되는 사유로 어업이 제한되면 행정관청에 청구할 수 있다.
    대부분의 손실보상은 공익사업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해당되어 발생한다. 행정관청은 보상의 원인이 된 처분으로 이익을 받은 자가 있으면 그 이익의 범위에서 보상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부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보상을 청구할 수 있는 자에게 미리 보상을 하지 않으면 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나 공사에 착수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연안지역의 개발이 예상되면 어업의 신고건수가 증가하는데, 특히 맨손어업이 크게 증가한다. 어업의 신고건수는 지자체의 어업인 수나 마을어업의 면적과는 관계없고, 어업손실보상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후 법 개정 시 어업보상 등을 목적한 신고어업을 방지하고 실제 어업에 종사하는 어업으로 한정하기 위하여 어업신고의 조건을 강화하기도 하였다.
    신고어업이 어업의 손실보상을 위한 수단으로 변하였다는 것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국적인 통계자료를 이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전국적인 신고어업의 통계자료를 얻는 것이 어려웠다. 경남의 통계자료만을 이용하여 수산업 현황과 신고어업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고어업의 실태와 문제를 고찰하여 신고어업의 제도 개선에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e origin of reported fishery comes from the fisheries law during the last period of the Korean empire. The appellation of reported fishery was changed to Gye-chul-eo-eop under Japanese occupation, and then reverted to reported fisher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fishery law in 1953.
    The reported fishery means the fisheries except licensed fishery, permissive fishery, restricted fishery, experimental fishery, research fishery, and training fishery. The fishery is available if the declaration to the mayor, county chief, and district leader is taken.
    The category of reported fisheries has been assuredly defined since the revision of the related laws in 1975. The reported fishery involving the fishery with a fishing boat came to 10 different kinds of fisheries in 1980. Since then, remaining to the present two kinds such as free diving fishery and fishing without gear. It is a small scale one and takes the nature of free fisheries, and its fishing zone includes a fishing ground of community-based fishery.
    The loss compensation of fishing is available for permissive fishery and reported fishery with revision of the related law in 1990. The reported number of fisheries is expected to increase with the development of coastal areas, particularly in fishing without gear. The reported number is strongly subject to the loss compensation of fishing, having nothing to do with the number of fishermen or area of community-based fishery in each province.
    National statistical data were used try to confirm if the reported fishery would transforms to be a mean for loss compens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obtain a statistical data of nation wide reported fisheries. Therefore, the present condition of fisheries in Gyeongnam and the actual condition of a reported fishery are investigated only with the statistical data in Gyeongnam.
    The present work contributes to improve the system of a reported fishery by discussing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a reported fishe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도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