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사회적 사회의 종교 : 자기만의 신, 신으로서의 개인 (Religion in the Postsocial Society : A God of One’s Own and the Individual as a God)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1.09
26P 미리보기
탈사회적 사회의 종교 : 자기만의 신, 신으로서의 개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문사회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현상과 인식 / 45권 / 3호 / 71 ~ 96페이지
    · 저자명 : 하홍규

    초록

    이 글은 탈사회적 사회의 조망 속에 종교의 변형을 포착하는 두 가지 종교 이야기를 소개한다. ‘탈사회적’이라는 개념은 인간의 상호 행위와 연대의 핵심 개념에 도전하고, 고도의 사회 구성체 시기를 넘어 보다 제한된 사회성과 대안적인 자아와 타자의 결속 형식으로 이행하는 현대적 전환에 주목하기 위한 분석적 개념이다. 첫째 이야기는 변함없는 종교성의 존재에 기대는 게오르그 짐멜과 ‘자기만의 신’이라는 표상으로 자신의 관심을 표현한 울리히 벡과 함께 전개하는 개인화된 종교에 대한 것이다. 이 첫 번째 이야기에서는 영성 추구자들과 가나안 성도들이 등장한다. 둘째는 에밀 뒤르케임과 어빙 고프먼과 함께 풀어보는 신이 된 인간에 대한 이야기이다. 현대의 개인들은 바로 숭배의 대상인 신이며, 오늘날의 사회적 삶은 신들 사이의 의례적 상호 행위로 파악된다. 두 가지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개인들은 그저 ‘고향 상실’의 상태에서 외로운 사람들이 아니라, 집합체, 제도, 조직에서 탈배태되어 그 존재 양식이 불안해 보일지라도 실상은 삶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주체-중심적인 존재들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ntroduces two religious stories that capture the transformation of religion in the view of a postsocial society. The concept of ‘postsocial’ is an analytical one to grab the contemporary transformation that “challenge core concepts of human interaction and solidarity and that point beyond a period of high social formation to one of more limited sociality and alternative forms of binding self and other.” The first story is about a individualized religion developed with Georg Simmel, who is leaning on the unwavering existence of religiosity, and Ulrich Beck, who expresses his concern with the image of ‘A God of One’s Own’ In the first story, ‘spiritual seekers’ and ‘dechurched christians’ are being casted. The second story is about a human being who has become a god, an individual as a god, narrating with Emile Durkheim and Erving Goffman. Modern individuals are gods as objects of worship, and today’s social life is viewed as ritual interactions between gods. The individuals appearing in these two stories are not lonely people in the state of ‘homelessness,’ but are in fact the subject-centered beings who actively intervene in life, even though they appear to be disembedded by group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상과 인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