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增補新安誌』의 편찬 배경과 특징 (A Background and Feature of Jeungbosinanji(增補新安誌))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1.01
34P 미리보기
『增補新安誌』의 편찬 배경과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담론 / 97호 / 235 ~ 268페이지
    · 저자명 : 문경호

    초록

    『증보신안지』는 보령현감 정권이 주도하고, 고을의 유생들이 참가하여 완성한 18세기 중반의 사찬읍지이다. 초간본은 사라지고, 필사본만 ‘신안읍지’ 또는 ‘보령군지’라는 이름으로 전하고 있다. 『증보신안지』가 발간된 18세기 중반은 지방의 수령과 재지사족들이 사찬읍지를 활발히 발간하던 시기였다. 정권은 제원찰방, 무장현감, 청양현감 등을 거칠 때마다 해당 고을의 읍지를 편찬하였다. 그것은 정권의 읍지 편찬을 중시한 개인적인 특성과 양난 이후 해이해진 향촌질서를 바로잡고, 가문의 위상을 높이고자 했던 사족들의 의도가 잘 부합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신안(新安)은 뉴성(杻城)과 함께 보령의 별호였다. 그러나 두 별호가 생겨난 배경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신안이라는 지명의 근원을 모색하고, 보령현감 정권이 읍지 발간을 주도한 목적과 당시 상황에 대해 조명하였다. 또한, 수록된 인물과 읍재, 제영 등의 조항을 분석하여 신안읍지의 특징과 초간본의 형태를 추정하였다.
    현존하는 『신안현지』는 1748년에 처음 제작된 것을 1907년 이전에 필사한 것으로 보인다. 이때 새로 추가된 조항은 인물 조에 수록된 조병흥과 그의 두 아들, 그리고 경대동(京大同) 혁파 등이다. 나머지는 대부분 1648년을 시점으로 그 이전의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조선 시대 보령은 수영과 인접해 있는 작은 고을이었다. 그러나 정권은 부임하자마자 읍지의 편찬을 서두르고, 향촌 교화에 힘썼다. 아마도 그는 그가 통치하는 고을에 성리학적 질서를 정착시킴으로써 풍속을 바로잡고, 소학을 보급하여 수령과 재지사족을 중심으로 하는 성리학적 사회를 구축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Jeongboshinangi(增補新安誌) was a privately published Eubji made by the involvement of ruling power in Boryung and the Confucian scholars in the village in the middle of 18th century. The first edition was disappeared and only the handscript edition titled for 'Shinan Prefecture Journal' or 'Boryung County Eubji' is handed down. At the era of Jeongboshinangi publication, it was popular in publishing the prefecture's journal privately by the local officials and local Confucian scholars. The dispatched officers to the village showed interest on the publication of journal to identify the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 and the attitudes of the Confucian scholars. The Confucian scholars also involved actively on the publication to restore the destabilized order in the village and upgrade the position of the families. The Jeongboshinangi was made by such agreement on the interest of the local officers and Confucian scholars.
    Boryung was also known as Shinan or Newsung. But the background of appearance of two different names was not known. This paper is to seek the origin of the geographical name, Shinan and to look into the objectives and then situation of publication of village journal by the government authority of Boryung. In addition, this study estimated the feature and the format of the first edition of geographical journal of Shinan by analyzing the figures, local officers and Jeyeong(題詠) enlisted.
    The current Shinan Village Journal seems to be written manually before 1907 for the first publication on 1748. The newly added points at that time were Cho Byung Heung and his two sons and the abolishing Gyeongdaedong(京大同) which were written on the column for the figures. The others are mostly the records on the facts before 1748. Boryung during Joseon Dynasty was a hamlet near to Sooyoung. But the local officer raced to publish the village journal and made efforts to take the lead of the village. Probably, it seems that he tried to establish the neo-Confucian ideal society by restoring the custom and distributing the Confucian study while he expected the local spread of neo-Confucia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