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功臣敎書 연구-문서식과 발급 과정을 중심으로- (Study on Royal Message of Investing a Vassal of Merit - Its documentary form and the process of issue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1.08
34P 미리보기
조선시대 功臣敎書 연구-문서식과 발급 과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39권 / 1 ~ 34페이지
    · 저자명 : 노인환

    초록

    조선시대 功臣敎書는 조선의 개국, 반정을 통한 정권교체, 역모 및 반란의 진압, 전란 등과 같이 특정한 사건에 공을 세워 錄勳된 功臣에게 발급해 준 문서이다. 본고는 조선시대 공신교서에 대하여 고문서학적인 측면에서 문서식과 발급 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조선시대 공신은 태조 1년(1392) 開國功臣부터 영조 4년(1728) 揚武功臣까지 모두 28차례 錄勳되었는데, 이 가운데 6차례 削勳되었으며, 22차례 녹훈된 경우만 조선시대에 공신으로 인정하였다. 조선시대 공신교서는 현재까지 63건이 전해지고 있으며, 조선 초기부터 후기까지 전시기에 걸쳐 발급된 공신교서가 남아있다.
    공신교서의 문서식은 수취자․본문․공신 명단․寶印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수취자는 공신교서의 발급 시기에 따라 변화된 모습과 수취자의 생존여부에 따라 기재 방식이 달라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문은 ‘王若曰’과 ‘故玆敎示 想宜知悉’ 사이에 공신의 업적과 포상 내역 등을 騈儷文으로 작성하였다. 공신 명단은 공신교서의 발급 시기에 따라 변화된 모습과 공신 명단에서 이름을 삭제하는 사례를 확인하였다. 寶印은 「高麗國王之印」부터 「施命之寶」까지 6차례 寶印이 변화되는 과정과 실물 사례를 제시하였다.
    공신교서의 발급은 국왕의 명에 의하여 임시 관청인 都監을 설치하여 담당하였는데, 조선 전기에는 功臣都監에서 담당하였고, 조선 후기에는 錄勳都監에서 담당하였다. 공신도감과 녹훈도감에서는 공신의 대상과 공신의 명칭을 정한 후에 공신교서를 발급하였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추후에 儀軌를 작성하였다.

    영어초록

    Royal message of investing a vassal of merit in the Joseon period was issued to vassals of merit who rendered distinguished services on certain occasions i.e. the national establishment, a change of regime by later legitimized successful coup d'etas, suppression of treason and revolt, or war. This paper focuses on its documentary form and its process of issue in the aspect of palaeography.


    Investiture of vassals of merit has taken place 28 times throughout the Joseon period, at first from the National Establishment Meritorious Investiture in the first year of Taejo(1392) until the last Yangmu Meritorious Investiture in the fourth year of Yeongjo(1782), in consequence only twenty-two cases remained in effect, six of which later canceled. 63 royal messages on this affair survive by now, which covers the whole period of Joseon Dynasty from the beginning until the late period.


    We examined the documentary form of this royal message focusing on its receiver, the main text, the list of vassals and the royal seal. When it comes to its receiver, it varies in the form as the point of time the royal message was issued and whether the concerned receiver still survived. The main text describes its appointee's distinguished service and the rewarding in the formal style of Byeonryeomun(騈儷文) between the set phrases of ‘wang'yak'wal'(王若曰)’ and ‘Goja'gyosi sang'euijisil(故玆敎示 想宜知悉)’. On the problem of the listing we confirmed the examples of changes in the list by the time of issuing, sometimes omitting some names on the list. Royal seal was changed 6 times, from 「高麗國王之印(Goryeo Guk'wangjiin, The royal seal of Goryeo King」 to 「施命之寶(Simyeongjibo, The royal seal of commanding)」. We also offer the photography of this change of the seal.


    Temporary bureau of Dogam(都監) was installed to deal with these meritorious investiture by the order of the king, in the early Joseon period by Gongsin Dogam(功臣都監, Bureau of Vassals of Merit), and in the late Joseon period by Nokhun Dogam(錄勳都監, Bureau of Meritorious Investiture). In both of the Gongsin and Nokhun Dogam the subject and the appellation of vassals of merit was chosen before the issuing the royal message, such procedure later recorded in Euigwe(documentation of rituals and its proced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