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百濟橫穴式石室의 埋葬方式과 位階關係 (Hierarchical relationship and Burial method of stone chamber tomb in Baekj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4.05
32P 미리보기
百濟橫穴式石室의 埋葬方式과 位階關係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84권 / 84호 / 87 ~ 118페이지
    · 저자명 : 최영주

    초록

    이 글에서는 백제 횡혈식석실의 매장방식과 위계관계를 시기별로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백제 횡혈식석실의 매장방식은 Ⅱ기부터 장식목관이 사용되었으며, Ⅲ기부터는「들고 나르는 관」이 사용되었다. 매장인원수는 Ⅳ기부터 1인을 매장하는 경향이 강해지며, 현실 폭이 130㎝ 이하(FⅩ형식) 석실에서 주로 확인된다. 이는 매장의례의 관념과 절차가 변화되어 나타난 것이다.
    장신구를 비롯한 부장품의 부장양상을 보면, Ⅲ기까지는 착장형 장신구, 중국자기에 의한 사여체제가 이루어지다가 Ⅳ기부터는 은화관식과 관모틀에 의한 16관등제와 의관제도가 성립되어 지방으로 확산된다. 위계관계는 석실(형식·규모), 장식목관, 장신구, 중국자기, 장식대도, 금속품의 조합으로 결정되며, 시기별로 5단계로 나누어진다. 한편, 능산리형석실의 규모에 의한 위계는 3단계로 나누어지고 석실은 위계가 높아질수록 규모가 커진다. 또한 능산리형석실 규모가 대형, 정형화, 가공판석 사용, 부여에 가까울수록 화려한 Ⅲ형식의 은화관식이 출토되며, 피장자의 위계는 높다고 판단된다.
    이렇듯 백제 횡혈식석실의 매장방식과 장신구의 부장양상 등으로 본 획기는 Ⅳ기로, 이 시기의 변화는 백제가 사비로 천도한 후에 오방제의 실시와 율령체제에 의해 규범화(관등제 및 의관제 등)된 상황 속에서 나타난다.

    영어초록

    This study looked into period characteristics about the burial method and hierarchical relationship of stone chamber tomb in Baekje. About the burial method of stone chamber tomb, the ornament wooden coffin was used from Ⅱ period, and 「carrying style coffin」was used from Ⅲ period. About the number of person to bury, one person was mainly buried from Ⅳ period and it is usually discovered in a burial chamber which is below 130cm wide(FX type). This showed that the notion and process of burial ceremonies were changed.
    To study burial aspects about burial goods including ornaments, the giving system by attached style ornaments and Chinese porcelains was conducted until Ⅳ period and 16 official rank and attire system by silver diadem ornament and official hat frame were established from Ⅳ period and it spread to the local area.
    Hierarchical relationships were decided by combinations of stone chambers (form and scale), ornament wooden coffins, Chinese porcelains, decorative swords, and metal products and these were divided into 5 levels by time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hierarchy by the scale of the stone chamber tomb of Neungsanri(陵山里) type was divided into 3 levels and the scale of stone chamber tomb became bigger if the hierarchy became higher. And the stone chamber tomb of Neungsanri type were large scales, standardized, using processed flagstone, the more glittering and Ⅲ-typed silver diadem ornaments were excavated and it means the buried had a high hierarchy.
    In this way, by studying the burial method of stone chamber tomb in Baekje and burial aspects of ornaments, a remarkable period was Ⅳ period and changes of this period appeared in conditions of five-bang system enforcement and the standardization by law systems (official rank and attire system) after Baekje transferred the capital to Sab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