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담석 형성에 영향을 주는 식생활 관련 요인 연구 (Study on Dietary Risk Factors in Gallstone Form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08.04
10P 미리보기
담석 형성에 영향을 주는 식생활 관련 요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3권 / 2호 / 288 ~ 297페이지
    · 저자명 : 김은정, 이영미, 이민준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증가 추세에 있는 콜레스테롤 담석의 위험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 국내외 문헌을 통해 밝혀진 위험 요인을 바탕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결과를 얻었다.
    두 군의 생태학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평균 연령은 담석군(51.5 ± 11.0)이 비담석군(47.2 ± 10.7)에 비하여 높았으며, BMI와 허리둘레, WHR 평균값은 담석군이 남·녀모두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고 특히 허리둘레와 WHR 평균값이 담석여자군(85.3 ± 10.0, 0.90 ± 0.1)이 비담석군(81.2 ± 8.6, 0.87 ± 0.1)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조사되었다(p < 0.05, p < 0.01).
    TC 평균값은 비담석군(192.1 ± 35.7)이 담석군(176.2 ± 38.5)에 비하여 높았으며(p < 0.01) LDL-C 역시 비담석군(114.9 ± 32.0)이 담석군(103.1 ± 34.0) 보다 높았다(p < 0.05), HDL-C은 담석군(49.5 ± 17.8) 이 비담석군(54.9 ± 13.1)보다 낮았으며(p < 0.05) 공복혈당 평균값은 담석군(112.4 ± 35.6)이 비담석군(93.3 ± 19.9)보다 높았다(p < 0.001).
    직업의 활동정도는 앉아서 일하는 경우가 담석군이(44.4%) 비담석군(35.1%)보다 많았으며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경우는 비담석군(33.3%)이 담석군(22.2%)보다 많아 담석군의 전반적인 활동량이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담석 형성 관련 식품을 좋아하여 자주 섭취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육류의경우 담석군(51.3%)이 비담석군(36.9%)보다 높고, 육류의 기름진 부위도 담석군(27.8%)이 비담석군(16.2%)보다 높았으며, 단음식 역시 담석군(20.0%)이 비담석군(15.3%)보다 높아 담석군의 기름진 부위를 포함한 육류와 단음식의 섭취정도와 기호도가 높게 조사되었다. 견과류를좋아하여 자주 섭취하는 경우는 담석군(10.0%)이 비담석군(20.7%)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총 에너지의 섭취량은 비담석남자군(2009.2 ± 374.2) 이 담석남자군(1986.1 ± 413.3)보다 높고 비담석여자군(1986.1 ± 413.3)이 담석여자군(1730.1 ± 326.1)보다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단백질과 지방, 총탄수화물의 섭취량 역시 두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식이섬유의 섭취량은 남자의경우 담석군(9.2 ± 3.5)이 비담석군(10.7 ± 3.7)보다 유의하게 적었으며(p < 0.05), 담석군의 칼슘(p < 0.01)과칼륨(p < 0.05), 비타민C(p < 0.05)의 섭취량 역시 비담석군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본 연구에서 담석증은 5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 유병률이높게 나타났고, 비만도의 증가와 저 HDL-C혈증, 높은 혈당값이 담석 발병에 관여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에 포함되는 사항들로 담석증 역시 대사성 질환의 하나로 간주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만성 대사성 질환에 대한 교육시 담석 발병에 관련된 교육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담석 형성에 관여할 것으로 보이는 비만의 방지와 혈중 지단백 및 공복 혈당과 같은 생화학 지표들의 개선을 위해서는생활습관 및 식습관과 같은 생활양식의 개선이 요구된다. 본연구결과에 따른 생활습관 개선 사항으로는 규칙적인 운동과 적당량의 음주 습관, 규칙적인 식사 습관을 가지는 것이필요하며, 식사지침으로 육류 섭취에 대한 식생활교육 및 단음식 섭취 제한, 신선한 과일과 야채 섭취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비록 본 연구에서 한국인의 담석증 위험 요인들은 서구의결과들과 부분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보다 정확한콜레스테롤 담석의 위험 요인 분석을 위해서는 담석 성분 분석을 통한 연구가 요구되며 환자군의 규모를 확대하여 의미있는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겠다.

    영어초록

    It has been reported frequently that clinical features of gallstone disease in Korean were similarly changing to those of Occidentals. This changing was thought to be due to Westernized lifestyle and dietary patterns in Kor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risk factor among patients with gallston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0 gallstone group with biliary stone as confirmed by cholecystectomy and 111 control group with no biliary stone as confirmed by ultrasonography adjusted according to age and gender. Anthropometric indices and biomarkers were measured and dietary habit as well as nutrient consumption pattern were investigated using a structured checklist of health-related eating behavior and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he mean age was higher in GG (gallbladder stone patient group) than CG (control group). The average BMI and WHR (waisthip ratio) tended to be higher than those in CG. WC (waist circumference) and WHR of women in G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CG. GG had lower levels in TC (p < 0.01), LDL-C (p < 0.05), and HDL-C (p < 0.05), but higher FBG levels (p < 0.001). GG tended to be associated with lower physical activity and more frequent consumption of meat, meats with high fat and high sugar content food. The consumption levels of fiber (p < 0.05), vitamin C (p < 0.05), calcium (p < 0.01) in GG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CG. These findings showed that the association with incidence of gallbladder stone and anthrophometric indices and dietary consumption patterns. Further study may be necessary to elucidate the dietary risk factors in the changing patterns of gallstone diseas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2) : 288~297, 2008)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