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분분석으로 본 신라 왕경 식생사와 문화경관 (Reconstructing the Vegetation History and Cultural Landscape of the Silla Capital Using Pollen Analysi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0.12
33P 미리보기
화분분석으로 본 신라 왕경 식생사와 문화경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117호 / 71 ~ 103페이지
    · 저자명 : 안소현

    초록

    실체에 가까운 고대 도성의 경관 및 생활경관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토목·건축물에 대한 논의뿐만 아니라, 녹지 공간 즉 경관 구성요소로서의 식생이 어떠한 모습으로 어디에 위치했는지 밝히고 논의하는 일이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경주지역 유적 5곳의 화분분석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식물자료를 통해 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 식생 변천사를 생육장소에 주목하여 밝히고, 이러한 녹지는 고대인에 있어 어떠한 공간이었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검토 결과, 신라 왕경 구성요소로서의 식생과 그 문화경관적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AD 5~6세기대 남천 및 북천의 하천변에는 느티나무·느릅나무류가 주된 하안림이 분포하였고, 이러한 숲의 확대 및 쇠퇴는 인위적 영향에 의한 것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신라 왕경 내 대지 조성을 위한 6세기 후반 무렵 저지대개발로 인해 경주분지 중앙부 북천과 남천 사이의 습지식생이 쇠퇴한 양상이 확인되었다. 통일신라시대로 이행되면서 경주분지 내 생활공간 주변은 왕경 개발 범위의 확대 및 인구증가로 인해 초지 면적이 증대하고 상대적으로 숲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한편, 산지에서는 참나무류 중심의 극상림이 쇠퇴하고 소나무 이차림이증가하였다. 또한 대외 교역의 산물로서 외래식물의 존재가 밝혀졌으며, 특히 통일신라시대에 접어들어 새로운 재배식물이 출현하고 한층 다양화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고대 조경식물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가 확보되어, 신라 왕경에서 향유된 다양한 식물문화를 짐작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order to reconstruct the landscape of an ancient capital city and its living landscape as close as possible to how it may have actually bee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its green space (by identifying how the vegetation within the landscape looked like, where it was located, and what it meant to the ancient people who lived there),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aspects of its civil engineering and architecture. This research reveals the vegetation change that took place at five archaeological sites in Gyeongju during the time from the Three Kingdoms to the Unified Silla Period, with a focus on the places where vegetation grew, by examining the findings of various plant remains, with focus on pollen analys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ultural meaning of the vegetation which formed part of the landscape of the ancient capital city of Silla is as follows. During the period from the fifth to the sixth century AD, a riparian forest dominated by Zelkova-Ulmus was distributed along the banks of the Nam-cheon and Buk-cheon River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expansion and decline of this forest may have resulted from certain human activities. Evidence from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extinction of the wetland vegetation in the central area of the Gyeongju Basin in the late sixth century may have been due to the development of lowland areas for land required by the capital city.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areas peripheral to settlements within the Gyeongju Basin appear to have witnessed a relative decrease in forest lands, as a result of the expansion of city development and an increase in its population; this is evidenced by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grassland. Meanwhile, in mountainous areas, the Quercus-Pinus climax forest declined while secondary pine forests increased. In addition, this research discovered the presence of ancient exotic plants that had been imported through the trade with foreign countries, especially newly cultivated plants which began to appear and become diversifi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empirical data of this research, which was produced by collecting and classifying landscaping plants of the time, can provide a better resource based on which the variety of the plant culture of the capital city of Silla may be assum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