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언어에 의한 ‘식’의 변화 - 『섭대승론』을 중심으로 (The Change of Vijñāna originated from the Language : Focus on the text of Mahāyānasaṃgrah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4.06
34P 미리보기
언어에 의한 ‘식’의 변화 - 『섭대승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16호 / 465 ~ 498페이지
    · 저자명 : 안환기

    초록

    본 논문은 마음의 질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전의’를 분석하여 ‘전의’를 일으키는 최초의 계기가 진리를 전달하는 언어에 있음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세속에서 마음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표현하는 ‘전변’을 고찰하였다. 필자는 ‘전의’가 ‘전변’과 달리 변화이전과 이후가 질적으로 달라진다는 데 그 특징이 있음에 주목하고 이에 의거해서 언어에 의해 ‘식’이 변화되는 과정을 부각시키고자 했다.
    유식에 의하면 중생들은 진리를 들었을 때 깨달음에 이르고 싶다는 마음이 일어나게 되어 수행의 길로 접어들게 된다. 수행자의 마음에는 ‘유루종자’와 ‘무루종자’가 공존하며 수행이 진전됨에 따라 오염된 것은 점점 감소하고 청정한 ‘종자’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청정한 세계로부터 흘러나온 이야기를 잘 듣고 그것을 통찰하는 과정에 의해 나타난다. 즉 ‘의언분별’의 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 의해 수행자는 가행무분별지, 근본무분별지, 후득지를 차례로 경험하게 된다. 보살은 근본무분별지 이후에 증득되는 후득지를 경험하게 되면서 자타(自他)가 서로 다르지 않으며 공(空)함을 통찰하게 된다. 이 경험에 의해 보살은 열반에 머물지 않고 중생을 구원하기 위해 윤회의 세계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자비의 마음을 낼 수 있었던 것은 바로 후득지를 증득함에 있음을 유식불교는 보여준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정문훈습종자’에 의해 ‘식’이 변화되는 과정을 심리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보살이 자신이 깨달은 바를 언어로 표현하여 중생을 변화시킬 수 있었던 것은 후득지의 증득에 있음을 규명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that the first change of vijñāna[識] originated from the massage expressing the truth. Practice is the most important way to change the state of the mind. Taking notice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causing the practice is the holly truth flowing from the dharma-dhatu[法界], I intended to emphasize the process of the change of vijñāna by language.
    Yogācāra school displays that hearing the holy truth, people is eager to find enlightenment and goes into the path of practice. It is said that sâsravabīja[有漏種子] and asâsravabīja[無漏種子] coexist in the mind of monk and dirty bīja[種子] diminish and clean bīja increase at the progress of practice. It comes from the process of paying attention to the teaching of the holly truth and of having an insight into it. That comes from the act of Tuei-un-bun-bul[意言分別].
    By these processes the monk experiences prayoganirvikalpa-nana[加行無分別智], nirvikalpa-nana[根本無分別智], Hudugji(後得智, meaning wisdom attained later on) in order. Bodhisattva comes to get an insight into Sunyata[空] by experiencing the Hudugji(後得智, meaning wisdom attained later on). Bodhisattva comes back into the world of Samsara[輪廻] in order to save the people not staying at Nirvana[涅槃]. Due to acquire Hudugji(後得智, meaning wisdom attained later on), Bodhisattva makes mind of charity.
    In this article I clarify that Bodhisattva’s attaining the Hudugji(後得智, meaning wisdom attained later on) makes the people change his mind by language expressing the holly truth through analyzing the change of vijñāna by Jeongmun hunsubjonja[正聞薰習種子] in psychological 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