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수영 시에 나타난 도시적 시선의 문제 (A Subject of an Urban Eye Revealed in Kim Soo-yeong's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09.10
24P 미리보기
김수영 시에 나타난 도시적 시선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논집 / 60호 / 377 ~ 400페이지
    · 저자명 : 이광호

    초록

    이 논문은 김수영 시에 나타난 도시의 표상화가 어떤 시선 체계를 통해 구축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김수영 시의 화자는 도시적 공간 속에서 자신의 시선의 위치를 변두리적이고 외부적인 이방인으로 설정한다. 도시의 내부에 속해 있으면서 스스로를 도시의 외부에 위치시키고, 도시의 내부에서 도시의 외부를 응시하는 시선의 체계를 만들어낸다. 그러나 이 도시 외부자의 시선은 그 도시의 내부에서 새로운 사랑과 생명의 윤리를 찾아내는 발견의 시선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시선의 동력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계기는, 시인이 도시적 모더니티의 식민성을 받아들이면서 그로부터 내재적인 사랑과 혁명의 가능성을 사유했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그러한 사유의 발견이, 도시적 감각의 이동으로 구체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것은 도시적 표상에 대해 외재적인 관음과 조감(鳥瞰)의 시선으로부터 내재적인 시선으로의 이동을 의미한다.
    이 시선의 윤리학은 도시의 내부에서 현대의 시간과 역사의 시간을 동시에 포착하는 ‘겹시선’의 지점에 도달하게 만든다. 김수영에 의해 발견된 도시적 시간과 공간들은 도시에서의 가시적인 것과 비가시적인의 구분, 그리고 그것을 시적으로 표상화하는 시선의 문제들을 보여준다. 그는 도시 풍경을 시적 주체의 시각적 프레임 안에 가두어 두지 않고, 그 풍경의 바깥에 있는 존재의 가능성을 열어 놓는다. 김수영의 시에서 도시는 풍경이 아니라, 일종의 ‘사건’이다. 그것은 도시적 존재가 구체적인 시간 속에 동사적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새로운 시간의 가능성이 그 안에 내재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감각의 모험은 도시의 내부에서 다른 삶의 가능성을 응시한다는 측면에서 감각의 정치학에 해당한다. 시에서의 정치성이 시인의 사회적 메시지나 발언의 문제가 아니라, 그 ‘감성의 분할’과 감각의 분화라는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면, 김수영의 도시적 감각의 모험은 풍경을 둘러싼 표상체계가 갖는 전통적 위계를 깨뜨리는 신체의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t is impossible to understand the modernity of Korean modern poetry without mentioning Kim Soo-yeong. Kim Soo-yeong is a poet who has broken through the aspect of modernity of Korean modern poetry with daring words and forms. In order to understand the modernity of Kim Soo-yeong's poetry, we need to watch the position of individuality and changes in sentiment he has shown in the new urban culture. Kim Soo-yeong has made the modernity of Korean modern poetry advance into a new dimension by discovering new urban sensibility called ‘sorrow’ in the heart of a city life. It is not simply a question of the space of poetic material but an important point of discovery to understand the sentiment and politics of Kim Soo-yeong's poetry.
    This paper is to reflect on how the symbolization of the city is constructed through what eyeing system. If city is viewed as a system of symbolization, what matters is the question of eyeing system in which the city is constructed. When Kim Soo-yeong is called an urban poet, it does not simply mean that he was born in a city and he showed his critical interest in urban civilization. He was a poet who dramatically showed the eyeing system in which he represented urban space. The birth and adventure of eye in Kim Soo-yeong's poetry is an important aesthetic standpoint penetrating his poetry world. The important space where his ‘dynamics of eye’ is generated is the streets of the city. In that place he is not simply a person who gazes urban landscape but becomes a being who rediscovers himself within the frame of eye.

    Kim Soo-yeong sets up his position as a subordinate and external stranger in the urban space. While he belongs to the urban inside, he sets up himself as an outsider of the city, and based on this setup, he creates the eyeing system in which he star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city. And the eye of outsider of the city moves as the eye of discovery finding new ethics of love on the inside of the city. This place is the point where the ethics of the stroller or urban observer is discovered. The eye that identifies the crowed on the streets which is the object of voyeuristic eye transforms into a process searching for life of the city from the things on the street. The eye that has taken voyeuristic posture toward urban landscape moves to the eye of an ethical discoverer that discovers ‘life’ on the inside of the city. The ethics of this eye arrives at the stage of ‘double eyes’ that capture the acceleration time and the historical time at the same time on the inside of the city. The poet Kim Soo-yeong who had been sensitive to the sorrow of the city was not limited to the melancholy of metropolis which is the aesthetics of western modernity because he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new love and revolution in the colonialism and speed of Korean modernity. Kim Soo- yeong's poetry shows the inside and outside of urban time and space, the boundary of what is visible and invisible, and the question of eye that intervene in all these things with the poetic language. It is equivalent to the politics of an urban eye in the context of staring at the possibility of other lives on the inside of the c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