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하림 후기시 풍경의 양상과 현실인식 연구 (Insight into the Sceneries and Awareness of Choi Ha-rim’s Later Poem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5.12
23P 미리보기
최하림 후기시 풍경의 양상과 현실인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63호 / 139 ~ 161페이지
    · 저자명 : 박시영

    초록

    이 논문은 최하림 후기시에 나타난 풍경의 양상과 풍경에 내포된 현실인식의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최하림 후기시에서 풍경의 시학을 발견하는 논의는 이루어져 왔으나 풍경의 구성이나 양상, 풍경의 내용 등에 대한 구체적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학적 성취도가 높은 후기시의 풍경에 대한 연구가 진전되어야 할 필요성에서 출발한다.
    최하림 후기시 풍경을 재현하는 중요한 요소는 시적 자아의 시선이다. 후기시의 풍경을 이루는 시적 자아의 시선은 세계를 전유하려는 시선과 풍경의 한 부분이 되고자하는 시선이 혼재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시선을 바탕으로 후기시 풍경은 고요, 기억, 시간이라는 양상으로 분류된다. ‘고요의 풍경’에서는 사물을 고요하게 보기 위한 과정으로서의 사유 특성을 보여준다. ‘기억의 풍경’은 기억의 시간이 현재를 통과하며 풍경을 이룬다. 시적 자아의 현실인식은 역사적 체험에서 기인하며 과거의 기억이 내면화된 특성을 보인다. ‘시간의 풍경’은 현상세계를 존재론적인 성찰로 이끄는 풍경을 이룬다. 시적 자아는 지상의 한 순간에 대해 성찰하고 풍경의 시간은 무한 공간을 배경으로 흘러간다.
    본 논고는 최하림의 시가 초기의 역사성을 벗어나지 않고 후기시에도 내면화된 역사적 현실인식의 특성을 보여준다는 관점 하에 풍경의 양상에 따른 현실인식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평생의 시력에 걸쳐 일관된 역사의식을 보이면서도 존재론적이며 서정성을 띤 그의 시세계는 추후의 논의를 통해 진전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리라 생각된다.

    영어초록

    Poems of Choi Ha-rim focused on awareness of society, such as facing political and social issues of Korea. But in his later poems, he begins to describe scenery, which other studies have treated only in terms of the aesthetic features of scenery in his later poems. This essay starts on the necessity of a view, about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of scenery in his later poems. It then categorizes phases of sceneries, and elaborates on considerations about awareness, which is implicit in the scenery in his poems.
    The important element of scenery of his later poems is a view of the poetic self. It appears to mixed phase reflecting the real world and being a part of the world. Sceneries which consist of these views are categorized by subjects about ‘silence’, ‘memories’, and ‘time’, which appear in each of his poems.
    The consideration to watch poetic objects in silence appears in ‘Scenery of silence’. In ‘Scenery of memories’, the memories are aligned by the flow of time, and images of the memories are overlapped with those of scenery. In the poem of that scenery, the poetic self recognizes reality from historical experience, by internalizing his or her memories. ‘Scenery of time’ induces poetic self to introspect ontologically. The poetic self introspects scenery of a point of time, and time of scenery flows in infinite space, which appears sublime.
    Choi Ha-rim showed consistent historical awareness all of his life. His later poems are focused o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as well as lyrical scenery. These poems should be discussed more in future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