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글라데시 중부해안 풍수해 위험지역의 재난취약성 및 위기경감역량 실태 연구: 파투아칼리 시(市)를 중심으로 (Vulnerability and Capability of Disaster Risk Reduction in Hydro-meteorological Hazards-stricken Areas of the Coastal Zone in Bangladesh: the Case Study of the District of Patuakhali)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1.06
19P 미리보기
방글라데시 중부해안 풍수해 위험지역의 재난취약성 및 위기경감역량 실태 연구: 파투아칼리 시(市)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개발협력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개발협력연구 / 13권 / 2호 / 101 ~ 119페이지
    · 저자명 : 서은석, 이수연, 권구순

    초록

    연구목적: 방글라데시에서 풍수해 피해와 기후변화영향에 노출된 중부해안지 역 내 파투아칼리 시를 대상으로 재난취약성과 위기경감을 위한 역량 정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의 중요성: 한국의 남아시아 중점협력국인 방글라데시는 재난취약성 징 후가 높은 국가임에도 중점협력분야에 재난위기경감이 누락되어 있다. 이는 對개도국 재난취약성 및 재난위기경감 역량관련 연구가 부족하고 특히 대표적 인 재난취약국인 방글라데시의 재난부문 연구도 미비한데 일부 기인한다. 이에 실증적 연구를 토대로 방글라데시 해안지대 내 지역사회기반 재난위기경감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론: 본 연구는 재난피해도, 재난위기경감 거버넌스 운용도, 조기경보 체계 및 주민대응도를 분석 틀로 하여 분야별 지표를 개발하고 파투아칼리시에 서 재난피해를 경험한 9개 마을을 추출하여 해당 거주민 598명과 11명의 정부 관계자를 대상으로 반구조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 는 정량적 조사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연구결과: 재난피해도 영역에서 인적피해는 양호한 반면, 시설물과 사회경제 적 피해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위기경감 거버넌스는 마을 별 위원회는 조직되어 있으나 대응인력이 부족하고 마을단위 재난위기경감전략과 계획, 관 련 자료의 기록과 보관이 부재하며 주기적 회의도 개최되지 않는 등 실질적으 로 기능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기경보체계는 일부마을만 작동되고 주민들은 대응역할과 책임에 대한 인식이 결여되어 있으며 관련 연수나 훈련도 받은 경험이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및 시사점: 연구결과에 의거 재난위기경감과 기후변화대응형 농업역량 개발, 재난위기경감 거버넌스의 내실화, 조기경보체계 활성화를 통한 주민대응 역량 개발을 제시하였고 제3기 방글라데시 국별협력전략에 재난위기경감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Purpose: The study aims to empirically measure the extent of disaster vulnerability and capability for disaster risk reduction in Patuakhali district in the central coastal areas, exposed to hydro-meteorological hazards and climate change impacts in Bangladesh.
    Originality: Though Bangladesh, as the key partner country in the South Asia shows multiple disaster risks, disaster risk reduction has been ignored in the priority areas of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issued by the ROK government. This partially due to lack of research on disaster risk reduction in hazard-stricken developing countries, nor is research on disaster in Bangladesh. According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an recommendation for community based DRR in the coastal area of Bangladesh based on empirical research.
    Methodology: The study explores indicators of three key areas - the extent of damages of disasters, efficacy of community based DRR governance and early warning system and people’s perception on response as the conceptual framework. A semi-structured survey was conducted to 11 government officials, and 598 people selected from nine villages in Patuakhali district. The collected data was accordingly analyzed.
    Result: Firstly, no. of casualties was relatively low whereas essential facilities and socio-economic damages were recorded high. Though nascent DRR governance was established, lack of human resources for quick response, no strategy and plan for community based DDR, poor documentation of previous disaster records and few periodic meetings were identified. Finally, the early warning system was operated only in some villages, which led to lack of awareness of disaster response of respondents. They had little experience of relevant training. Conclusions and Implication: As the result of the study, it suggests that DRR and climate change adapted agriculture, well functioning of community based DRR governance and early warning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Furthermore, the Bangladesh partnership strategy has to be revised to include DRR in its priority a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