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석 시 「국수」에 나타난 식공간 연구 (Study on Food and Dining Space in Poem “Guksu” by Baekseo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5.06
16P 미리보기
백석 시 「국수」에 나타난 식공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수록지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 / 10권 / 1호 / 91 ~ 106페이지
    · 저자명 : 허서윤, 나정기

    초록

    식생활사는 우리의 흘러가는 일상을 텍스트로 형상화하는 문학 세계에서 인간의 욕망과 이상, 사회, 문화를 담아내는 유용한 도구가 되어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전문학에서부터 동시대문학에 이르기까지 등장하는 식공간에 관한 소재는 우리 민족의 생활 풍습에서부터 시대의 변화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 현대로 와서는 대중문화를 읽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간 진행되어온 문학 작품을 통한 음식연구는 대부분 고조리서와 문헌을 통해서 음식문화사를 고증하는 것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연구는 전통음식문화의 시대적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전통음식을 재현 하는 데에 큰 역할을 담당해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문학적 측면에서 음식문화를 연구하고, 문학작품 속에 나타난 음식의 상징적인 의미와 표현 방식에 따라 작가의 주제의식이나 가치관, 심리를 파악하는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음식연구의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여 백석의 시에 나타난 식공간 자료를 고증하고 그것을 통해 작가의 작품과 경험세계를 이해하고자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 근대 문학에서 가장 많은 음식을 소재로 한 백석의 시 중에서도 단일 음식물이 처음으로 제목으로 쓰인 「국수」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한 편의 영화와 같이 감각적 이미지로 수사되는 가족들의 평범한 식탁은 그의 시 안에서 멋의 정취를 가진 유년시절의 정겨운 세계로 생생하게 펼쳐진다. 그 공간 안에서 음식은 입의 쾌락을 위해서도 아니고 배고픔을 해결하는 생계수단도 아니라 하나의 민족의식으로 존재했다. 「국수」에 나타난 ‘평양냉면’은 백석이 태어나고 자란 고향 마을의 맛이었다. 또한 작품 외적으로 작가가 처한 시대적 상황을 살펴보면, 그 국수의 맛은 유년기를 추억하게 하는 동시에 다시는 다함께 국수를 준비하던 시절로 돌아갈 수 없음을 인지하게 하는 매개체이기도 하다.
    작품 속에 드러난 식공간에 대한 서술은 당시의 깊숙한 생활정서를 함의하고 있어 시에 등장하는 국수에 대한 식문화를 고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음식 연구의 민속학적 측면에서 우리에게 유의미한 단서들을 제공한다. 음식에 관한 추상적 사유들을 구체적으로 기술한 문학 텍스트를 해석하는 것은 식문화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접하고 작품과 작가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dining life history has been a useful tool that describes human's desire, ideal, community and culture in the literary world with texts of daily lives. Dining life materials that make appearance from classic literature to contemporary literature in Korea give opportunity to understand changes of values from life customs of Koreans as well as public culture in modern days.
    Studies on the food over literary works were made mostly by ancient cooking books and literatures to verify history of food culture. Those studies helped investigate changes of traditional food culture at time elapse to reproduce traditional food. These days, researchers are investigating food culture from humanity point of view to research author's theme consciousness, values and psychology in accordance with symbolic values and expressions of the food in literary works.
    This study accepted various kinds of viewpoints of studies on the food to verify dining space materials of Baekseok's poems and to understand author’s works and experience world. This study investigated “Guksu” which means “Noodle” in Korean and thus referred as “Noodle” hereafter, the first work with a title of food name among his poems that had materials of the largest number of food in modern literature of Korea. The ordinary but heartwarming scenes of family meals shown in “Noodle” are as lively as those in movies with sensual images and vivid local languages and they lead readers to the childhood experiences with taste. The food in the space is not for pleasure in the mouth and/or solving hunger but consciousness of the Koreans. “Pyeongyang Naengmyeon” in “Noodle” had taste of Baekseok's hometown. The literary work's dining space described deep life emotion at that time to investigate food materials, cultivation, cooking and ancestor's culture and spiritual world and to help understand reasons of the food as well as work world.
    Investigation into food and dining space through literary works gives significant conditions from the point of view of folk lore of food studies. Interpretation of descriptive texts of abstract reasons of the food gives various kinds of points of views on the food to understand literary works and writers in a new w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식공간융합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