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제화시의 생성과 유입 문화 (Creation and Introduction Culture of Jehwasi In Goryeo Perio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9.09
35P 미리보기
고려시대 제화시의 생성과 유입 문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인문학 / 48호 / 1 ~ 35페이지
    · 저자명 : 황수정

    초록

    본 연구는 고려시대 제화시의 생성과 유입 문화를 탐구한 논문이다. 제화시는 그림에 쓴 시를 의미한다. 넓은 의미로 그림을 소재로 하거나 제재로 한 시이다. 이러한 제화시는 그동안 주로 문학 중심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고려시대 제화시의 생성 요인과 유입 문화에 초점을 두었다. 본고는 우선 고려시대 제화시의 생성 요인을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학예(學藝)에 대한 관심과 부흥이다. 고려시대는 특히 예종, 인종, 명종 등이 학예에 지대한 관심과 부흥을 꾀하였던 바가 주효했다. 또한 고려시대 무신집권기 정치적인 측면에서의 불안은 상대적으로 문화예술적인 관심과 애호의 측면이 강하게 부각되었다. 원(元)과의 교류로 인한 다양한 문화의 섭렵은 특히 회화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이로 인해 시와 그림이 본질적으로 유사성을 지닌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시인으로서의 긍지와 자부를 들 수 있다. 고려시대는 죽림칠현을 표방하며 정치보다는 시주에 몰입하였던 이인로, 임춘 등을 비롯한 죽림고회 및 이규보, 이색 등 당대 문인들의 활동이 최고조에 이르렀다. 이규보, 이색 등은 자신들의 시적 역량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표방하였다. 당대 시인들의 이러한 능력과 자긍심은 중국으로부터 제화시를 받아들여 발전시키는 데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었다. 이러한 생성 요인을 바탕으로 그에 따른 유입 문화가 이루어졌다.
    먼저, 회화 감상 문화를 들 수 있다. 옛 그림에 대한 감회 및 감상을 시로 옮겨 짓는 경우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여기에는 소상팔경식 관념적인 제화시와 그 밖에 고려에 유입된 중국 그림에 대한 제화시 문화가 이루어졌다. 다음은, 시와 그림으로 나누는 친교 문화이다. 고려시대 대표적인 문인 학자들이 그림과 시를 통해 친교를 나누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로의 필요에 의해서 그림을 보여주면서 시를 받기도 하고, 그림을 요구하는 시를 보내기도 하고, 그림을 받고 그에 대한 시를 남기기도 하였다. 이러한 제화시 문화 활동은 당시 지식인들 사이에서 문화의 한 부분으로 상당히 고무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look into creation and introduction culture of Jehwasi In Goryeo Period. Jehwasi means poetry written on drawings. Roughly, it is poetry with drawing as a material. Studies on Jehwasi usually focused on literature. This study focused on creation of Jehwasi In Goryeo Period and introduction culture based on the results of existing studies.
    This study examined two aspects, creation factors of Jehwasi In Goryeo Period: First, During the Period of Military Rule in the Goryeo Dynasty, as people felt anxious about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they had strong preference to culture and art. Therefore, they had strong desires to enjoy culture, which led to prosperity of culture. As Korean people contacted to diverse cultures through exchanges with China, they had special interest in painting. They recognized that poetry is naturally similar to painting. Second, they were proud of themselves as poets. Lee Gyu-Bo, Lee Saek and Juklimgohwe including Lee In-Ro and Lim Choon who were indulged in poetry rather than politics and adopted Juklimchihyon as a platform were very active in literary activities. In this aspect, Lee Gyu-Bo and Lee Saek were proud of their poetic ability. It was an important factor to adopt Jehwasi from China and develop it.
    Based on the production factors, introduction culture of Jehwasi was made. Jehwasi introduction culture was summarized into two aspects; First, culture of appreciating old drawings and paintings. People wrote poetry on their feeling on old drawings and paintings. Some poems were conceptual and others were about Chinese paintings introduced to Goryeo. Second, friendship culture through poetry and painting. It was known that representative literary scholars in Goryeo Period had friendship through paintings and poetry. They showed paintings to friends, exchanged poems each other, sent poetry each other to ask paintings, received paintings from friends and wrote poetry of appreciation to them. Such poetry writing culture was encouraged as part of culture between intellectuals at tha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후